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1970년에 MIT와 함께 새로운 HST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의과학-공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다. POSTECH도 과학을 하는 의사와 더불어, 의학을 이해하는 공학자를 양성하는 연구중심의대를 구상하고 있다. 의과학전문대학원 형태로 의학 교육 2년, 공학 연구 4년, 다시 의학 교육 2년 총 8년을 다니는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분야를 넘어 협동하는 주제로 만들었다. 이처럼 프랭클린은 과학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들을 이끌어내는 데 분명한 재능을 보였다. 그렇다면 그녀는 왜 DNA 구조를 연구하던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만 그렇게 독선적이고 고립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던 걸까? 그 답은 프랭클린의 성격이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의존한 까닭이다. ‘재난에 맞서는 과학’을 위해 저자는 과학적 사실이 “신뢰를 얻기 위해 합의하고 소통하는 과정”과 그 사실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사회”를 강조한다. 나아가 재난 피해자들을 구제하고 새로운 재난을 막는, ‘누구나 손 드는 과학’을 제안한다. 피해자들, 피해자들과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전에는 알기 어렵다. 2010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2006년부터 5년간 전국 소비자 4600명을 대상으로 근내지방도(마블링), 부위, 숙성 정도, 요리 방법 등 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르게 한 소고기의 맛을 ...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살짝 곡률의 크기를 늘리면 피자는 빼어난 정리에 따라 가우스 곡률 0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 곡률이 0이 된다. 그래서 피자 조각을 세로로 접으면 도우가 구부러지지 않게 펴져 토핑이 떨어지지 않는다. 라지 사이즈 피자 시킨 당신은 수학 천재! 피자를 혼자 또는 둘이 먹어도 가격 대비를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그러자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다.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곱게 갈린 원두 가루가 커피 원액을 거르는 필터를 막아 버렸다. 실제로 효율이 낮아 원두 낭비가 컸다. 이후 수천 번이 넘는 추출 실험과 계산 끝에 연구팀은 추출 효율을 크게 높이면서 맛의 차이가 크지 ...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횟수를 바로 계산할 수 있는 일반화 방법이 있을까? 많은 수학자가 이 방법을 찾기 위해 팬케이크 문제를 연구했다. 그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설립자 빌 게이츠도 있다. 게이츠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출신인데, 유일하게 남긴 수학 논문이 바로 팬케이크 문제에 관한 것이다. 게이츠는 1979년 ...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잘 세운 방정식 하나로 전부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튜링은 피부 색소에 해당하는 형태소가 2개고 화학반응이 일어난다고 가정했다. 만약 형태소가 하나라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만 일어나기 때문에 아래 프랑스 국기(A)처럼 단순한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7년, 13년, 17년즉 소수 해마다 나타난다고 한다. 매미가 천적과 맞닥뜨릴 확률을 줄이기 위해 이렇게 진화했다고 설명한다. 새와 거미, 말벌처럼 매미를 잡아먹는 천적은 주로 2~6년 주기로 성장한다. 만약 매미가 2와 6의 배수인 해마다 바깥으로 나온다면 그만큼 천적에게 잡아먹힐 확률이 높다.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어쩌면 그렇기에 한 골, 한 골이 더 달콤하고 소중하지요. 수학도 이 찰나의 즐거움을 위해서 노력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또 제가 생각하는 수학은 ‘사람이 하는 이야기’예요. 수학이 단 하나의 참을 추구해야 하는 진리라고 여겨 사람과 전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분이 많아요. 하지만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