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계"(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THE NOBEL PRIZE 2019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변은 없었다. 올해 노벨상의 선택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대로 ‘인류에게 최대의 혜택(the greatest benefit to humankind)’을 가져다준 9명의 과학자였다.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Part4.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Part5.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같다”고 말했다. 물리학상블랙홀이 호명 안 된 이유 올해 물리학상은 우주 진화와 외계행성의 비밀을 푼 과학자들을 선택했다.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는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우주가 빅뱅 이후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연구하는 ‘물리 우주론’을 정립했고, 스위스 ...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확인됐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물리학및천문학부 연구팀은 사자자리에 있는 외계 행성인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하는 K2-18b는 지구보다 8배가량 큰 질량을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블랙’ 등장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알려진 ‘반타블랙’의 가시광선 흡수율(99.96%)보다 더 높다.워들 교수는 “CNT를 외계 행성을 찾는 우주망원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검은색이 빛을 흡수해 빛의 산란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doi: 10.1021/acsami.9b0829 ...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키스 배니스터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 고속전파폭발(FRB)의 위치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FRB는 우주에서 오는 짧지만 강력한 전파 신호로, 나타났다가 수ms(밀리초) 만에 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 위치와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호주 ...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토머스는 순수한 이성은 신에 도달한다고 생각했지만,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아마도 외계 지성체를 만나보기 전까지는 답을 알기 어려울 겁니다. 그래도 인공지능이 실마리가 될 수는 있겠지요. 우리가 아는 지성체는 인간이 유일합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만들 때도 기준은 인간이 될 수밖에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짧은 기간임은 분명하다. 지금까지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외계생명체의 신호가 없을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이유다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영화 속 상상? 이건 실화다! 때로는 현실이 드라마보다 더 극적일 때가 있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영화의 단골 소재 ... 설정의 ‘화성 침공’, 외계인을 수사하는 비밀 조직 이야기 ‘맨 인 블랙’ 등도 외계인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시각을 다룬 영화들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풍력, 태양력, 지열, 수소 등 대체 에너지도 개발하고 있지요. ● 통합과학 넓히기 외계 행성에도 비가 내릴까? ‘하늘’하면 으레 푸른 하늘에 흰 구름이 둥둥 떠다니는 모습을 떠올려요. 하지만 모두 지구와 같은 모습은 아니에요. 다른 행성의 하늘은 어떤 모습일까요?다른 행성들의 하늘에도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지구에 있든 저 멀리 떨어진 우주에 있든, 현재는 어느 것도 단정할 수 없는 상태다. 외계인 연구를 통해 누구나 납득할 수밖에 없는 성과를 거둔다면 우리의 의식을 다른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