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직"(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후크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가 이로부터 타원궤도를 구하려고 했지만 모두 실패합니다. 오직 뉴턴만이 뛰어난 수학실력을 바탕으로 타원궤도를 계산하는데 성공합니다. 후크 입장에선 배가 아플 수 있지만, 만유인력의 주인공이 뉴턴인 이유입니다.모두에게 평등한 음식, 국수아, 까르보나라를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담겨 있던 콜로디온 성분 중에서 에테르와 알코올은 모두 증발하고, 플라스크 안에는 오직 니트로셀룰로오스 성분만 남아 있었던 것이다.베네딕투스는 이런 기이한 현상에 흥미를 느끼고 같은 조건으로 다시 실험했다. 그 결과 니트로셀룰로오스가 깨진 유리 조각을 묶어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달의 위상 변화를 세로로 쌓아 올렸어요. 작품은 제 마음 가는대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상 정보와 처음에 결정한 변수로 완성되죠. 이렇게 바구니로 만들면 단순히 노트에 정리했던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낼 수 없는 부분까지 표현할 수 있어요. 가로축을 ‘시간’이라고 정했지만, 시간 정보를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도마뱀들은 성기가 양쪽에 한 쌍이 있지만, 악어 거북이 포유동물 그리고 몇몇 새들은 오직 한 개지요. 크기도 제 각각입니다. 아르헨티나 호수 오리는 현존하는 척추동물 중 몸 길이 대비 가장 긴 성기를 갖고 있습니다.이토록 독특하고 복잡한 생식 방법을 지구에서 처음으로 발명한 판피어가 이제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력에 대해, 두 번째 논문은 별 안에서의 중력에 대해 구한 것입니다. 이 조건에서는 오직 별의 질량에 의해서 모든 것이 결정됩니다.”┗ 박사님이 구한 해에 특이점이 나타난다는 것은 아셨습니까?“유한한 반지름에서 특이점이 나타나서 깜짝 놀랐습니다. 보통 그런 것은 거리가 0이라든가 하는,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귀한 존재로 여깁니다. 그래서 그 누구도 감히 이 불상을 손으로 만질 수 없는데, 오직 왕만이 성스런 의식을 통해 1년에 3번 부처님의 옷을 갈아입혀 줄 수 있습니다. 에메랄드 사원의 위엄과 왕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려는 듯 사원과 왕궁 주변 건물은 화려하기 그지없습니다. 황금빛으로 반짝이는 ... ...
- PART3.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아인슈타인도 우주는 영원불변한 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오직 단 하나, 일반상대성이론만이 ‘진화하는 우주’를 예측했다.(▲ 위의 이미지는 인포그래픽 코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 주제로 사이언스, 네이처에 논문을 34편이나 썼어요. 게다가 이 종류의 공룡 화석은 오직 중국 랴오닝성에서만 나와요. 최고 적임자였죠.Q 앞으로 언제쯤 연구 결과를 볼 수 있을까요?A 1~2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동물과 지질 업무를 총괄하고 있기 때문에 공룡만 연구할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성에는 없었던 새로운 기능이 들어갔다. 바로 적외선 카메라다. 아리랑 1, 2, 3호에는 오직 광학카메라만 들어가 있었다. 즉 아리랑 3A 위성의 가장 큰 특징은 적외선으로 본다는 점이다.가시광선을 통해 사진을 찍는 광학카메라는 캄캄한 밤에는 촬영이 불가능하고, 렌즈 앞을 가리는 물체, 즉 ... ...
- [Hot Issue] 가마에 오르면 사람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사실을 기억해보자. 우리는 타인의 속마음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나의 경험이요 타인의 감정이나 생각은 그럴싸하게 ‘추론’하는 것일뿐이다. 남을 판단하는 과정은 ‘내 경험과 주변 정황들을 종합해보면 이럴 거 같은데…’로 요약되는, 꽤 머리 아픈 ‘탐정 놀이’다.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