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d라이브러리
"
옛날
"(으)로 총 1,3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주 마음에 드는 표현이군! 그런데 사실 뇌 연구는 내가 살던 때뿐 아니라 아주 먼
옛날
에도 활발하게 진행됐어. 과거에 뇌 연구를 했던 방식은…, 놀라지 마! 바로 ‘해부’!언어를 담당하는 뇌 부위 발견과거에는 사람 뇌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어요. 뇌를 직접 해부하는 방법밖에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이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반도체죠? 반도체가 나노 단위로 작아지면서
옛날
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반도체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난 4월 28일 고려대를 찾았다.연구실에 들어서기 전부터 독특한 냄새가 코를 자극했다.
옛날
푸세식 화장실에서 맡아본 비릿하고 시큼한 암모니아 냄새였다. 독하진 않고 은은한, 그러나 그리 편안하진 않은 냄새였다. “파리 소화액과 배설물 냄새가 뒤섞여서 나는 냄새입니다.” 법곤충학자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들은 새로운 땅을 만들기로 결심했답니다.네덜란드는 나라 전체가 해수면보다 낮아
옛날
부터 바닷물을 막는 방조제를 만드는 기술이 발달했어요. 이제는 단순히 방조제로 막는 것을 넘어서 아예 바닷물보다 높이 솟은 ‘인공섬’을 만들기 시작했지요. 그 결과 세계 최대의 인공섬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요구하는 비트코인은 무엇인가요비트코인은 인터넷 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입니다.
옛날
옛적 싸이월드에서 사용하던 도토리처럼 물건을 살 때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죠. 비트코인은 은행이나 다른 대행업체를 거치지 않고 개인 대 개인으로 인터넷을 통해 거래할 수 있어 수수료가 적습니다.계좌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우리가 느끼는 현실은 가상이며, 진정한 실체는 원자의 배열이라고 했다. HMD도 없던
옛날
옛적부터 이미 가상과 현실의 차이를 논하기 시작한 것이다.그런데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 진중권 동양대 교양학부 교수는 디지털 시대가 가상과 현실이 중첩된 상태, 즉 ‘파타피직스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평화롭던 말레이시아 슬랑오르의 한 마을에 날카로운 소리와 함께 스톰트루퍼 군단의 우주선이 불시착한다. 임무를 마치고 제국으로 돌아가던 길, 우연히 만난 태양풍에 표류하다 결국 지구에 떨어진 것이다. 가까스로 살아남은 스톰트루퍼 군단은 구조대가 오기만을 기다린다. 하지만 그동안은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다루는 수학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만의 수학교육이 시작된 지도 60년이 지났다. 그
옛날
, 할머니와 엄마는 어떤 수학을 배웠을까? 오늘 수학 시간엔 미터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선생님은 새 나라의 어린이는 미터법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외국에선 미터로 거리를 잰다고 한다.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기대를 가져주는 선생님이 있었다면 공부 잘했을 텐데…. 그나저나 실제로는 이 길이
옛날
에 서울가정법원 가는 길이라 이혼하려는 부부가 많이 지나갔대. 그래서 돌담길을 같이 걸으면 헤어진다는 속설이 생겼다고 하더라.” 소년이 별안간 진지한 얼굴로 덧붙입니다. “우리는 평생 알콩달콩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남산 자락에 있는 숭의여대 식품영양학과의 유경미 교수를 만났더니 이렇게 말합니다. “
옛날
혀지도는 19세기에 몇 명을 대상으로 실험해서 만들었어요. 틀린 게 아주 많았지만 너무 오랫동안 퍼지는 바람에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사실’로 믿고 있어요.”눈치 빠른 독자라면 기본맛도 4개에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