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자연스러운 탈모도 있지만, 몸의 균형이 깨지면 탈모가 일어나기도 해요. 질병에 걸려 약물 치료를 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도 탈모가 생기지요.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 불균형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탈모 증상은 원인이 해결되면 없어지지요. 머리카락의 건강은 우리의 ... ...
- 먼 거리는 킬로미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두 장소 사이의 거리, 건물의 높이, 바닷물의 깊이 등을 잴 때는 주로 미터(m)를 써요. cm로 나타내기엔 너무 긴 것들이지요. 1000m가 넘는 길 ... 잰 지구의 지름은 약 1만 2742km예요. 보통 사람은 한 시간에 약 4km를 걸으니까, 걸어서 약 3185시간, 일수로는 132일이 걸릴 만큼 엄청난 거리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달라져서, 오늘날에는 1자가 약 30.3cm와 같다고 계산해요. 그래서 ‘6자 장롱’은 길이가약 181.8cm라는 걸 의미하지요. W, D, H를 측정하라! 가구를 살 때 가로 길이만 잰다고요? 가구는 입체이므로, 가구의 길이뿐만 아니라 폭과 높이까지 알아야 하지요. 슈퍼M과 함께 가구 크기 재는 법을 알아봐요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를 타원형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달이 지구와 가까울 때와 멀 때의 거리 차이가 약 4만km 납니다. 슈퍼문은 달 이 지구와 가까울 때 크게 보이는 현상으로, 1년에 2~4번 정도 관찰되지요. 지난 8월은 슈퍼문이 2일과 31일 두 번이나 떴어요. 특히 8월 31일에는 2018년 이후 5년 만에 뜬 슈퍼블루문이었답니다 ... ...
- 별과 별 사이 거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고래자리에 있는 별 ‘어렌델’이에요. 어렌델은 지구로부터 약 280억 광년만큼 멀리 있는데,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80억 년을 달려가야만 어렌델에 닿을 수 있는 거예요. 어렌델이 오늘 뿜어낸 빛을 우리 눈으로 보려면, 앞으로 280억 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 ...
- [가상 인터뷰] 해열제, 얼리면 독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어디서나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극지연구소 김기태 책임연구원은 “최근 의약품 성분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남극이나 북극까지 오고 있다”며 “이들이 동결 농축 효과로 인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극지 생물에게 미칠 영향을 ... ...
- [이야기로 냠냠!어수잼] 소수나라, 다고쳐 약국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소수나라의 ‘다고쳐 약국’은 언제나 아픈 사람들로 붐벼요. 이 약국의 주인인 ‘소다’ 약사는 정확한 조제★ 실력으로 유명하지요. 어느 날, 소수나라에 이상한 유행병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0.001g도 정확하게! 소수나라, 다고쳐 약국Part1. 다고쳐 약국Part2.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처방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잠시 뒤, ‘해롱해롱 어지럼병’에 걸린 환자들이 약국 문을 열고 몰려왔어요. 이 병에 효능이 있는 약 재료는 바로 ‘도라도라 열매 가루’예요. 하지만 도라 ... ”소다와 팡팡이는 환자들에게 달려갔지요.“바쁘다, 바빠! 독자 여러분이 땀그만 알약의 양을 마저 계산해 주세요~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정도 크면 중심부에서 사람의 팔처럼 가지를 뻗어 내는데, 그러려면 선인장의 나이가 약 75살은 넘어야 하죠. 사와로는 150년 이상 산다고 알려졌으니, 제가 본 선인장은 100살이 넘었을 수도 있는 거예요. 5월의 사와로들은 꽃을 피우고 있었어요. 사와로가 팔을 만드는 이유는 바로 이 꽃과 관련이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더워지는 날씨 때문에 2100년에는 새의 수가 지금보다 약 12% 줄어들지도 몰라요.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면서 봄이 오는 시기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지만, 새들은 계절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살아남기 어려워지는 거예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와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진은 200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