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민"(으)로 총 1,0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다리에 창애(용수철 원리를 이용한 덫)가 걸린 채로 힘겹게 도망다니는 것을 어느 시민이 발견한 덕분이었다. GPS 위치추적기의 기록을 살펴봤더니 구조되기 3일 전부터 먼 거리를 이동하지 못하고 구조 장소 주변만 맴돌았다. 창애에 걸린 다리는 골절은 물론, 피부까지 괴사해 간신히 형태만 ... ...
- [특집] 막 잡다가 텅 빈 바다 된다?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 막 잡다가 텅 빈 바다 된다? 물고기Part1. [특집] 물고기를 잡아도 너무 잡아!Part2.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Part3. [특집] 고기잡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Part4.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미션내가 보았거나 경험한 디지털 협업의 사례를 알려 주세요. 또, 미래에 내가 디지털 시민들과 협업하고 싶은 목표나 프로젝트가 있다면 어과동 홈페이지 ‘포스팅’에[디지털리터러시]라는 말머리와 함께 의견을 남겨 주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봄에 만날 수 있는 생명들이 부지런히 자라고 있어요. ‘쳉쳉쳉’ 하고 우는 노랑배청개구리도 본격적으로 울음소리를 들려주고, 번데기에서 이제 막 우화한 나비도 아름다운 날개를 뽐내고 있죠. 어린 새들도 날개짓 연습을 하며 쑥쑥 크고 있답니다. 봄에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생물종을 어서 탐 ... ...
- [특집] 고기잡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해양 보호구역이 어민과 생태계를 동시에 살릴 방법이 되는 거예요. ●인터뷰김은희(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우리나라 바다에 노테이크존이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Q우리나라에 노테이크존이 한 곳도 없다고요?맞습니다. ‘해양생태계보호구역’, ‘해양생물보호구역’ 등 30여 ... ...
- 일상 회복은 백신+마스크와 함께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영국, 싱가포르, 이스라엘 등은 앞서 방역 완화 전략을 취했고, 일상의 리듬으로 돌아간 시민들이 지하철, 식당, 공항을 가득 채우고 있다. 10월 13일 한국 정부도 11월부터 시행될 단계적 일상회복을 앞두고 방역체계 전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합동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동도로동동동~! 난 우동수비대의 ‘재간동이’ 우동이야. 호기심 많은 라쿤답게 우동수비대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고 있지. 우동수비대에는 동물원 속 동물들이 잘 살고 있는지 알아보고 지켜주는 수비대원들이 많아. 우동수비대의 활약을 소개할게! 질문하면 답해ZOOM, 동물원 동물들은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어요. 지난 2월 25일, 서울시도 3D 가상 도시 S-MAP을 만들어 공개했어요. S-MAP에서는 시민들이 건물을 짓는 등 도시 계획 아이디어를 3D 형태로 제안할 수 있어요. 이외에도 서울시는 새로운 건물을 지을 때 미세먼지나 열이 정체되는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바람이 부는 방향인 ‘바람길’ 정보를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어린이의 권리는 충분히 존중받지 못하고 있지요. 하지만 어린이들 또한 디지털 세계의 시민이고, 미래에는 디지털 기술이 더 중요해지는 만큼 지금부터라도 달라져야겠죠? 이번에 합의된 ‘일반논평 25호’가 중요한 이유는 디지털 미디어 세계에서 어린이들을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은 사회의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새들이 야생성을 잃고 길들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시민과학의 측면에서 접근해 새 둥지를 모니터하는 등 새가 살아갈 터전을 관심을 가지고 살피는 활동을 지속해 나간다면 새에게 우리의 곁을 내어주는 문화적 연습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