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위취
개폐기
전환기
스윗
스윗치
switch
스위치무역
d라이브러리
"
스위치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지나갈 때 전동기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를 멈추게 한다.09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카가 멈추지 않으면 다시 한 번 속도를 줄인다.10완충기엘리베이터의 최종적인 안전장치로 카와 균형추 아래에 각각 설치한다.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분당 60m 이하일때는 스프링 완충기를, 분당 60m 이상일 ... ...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힘든 일. 만약 대신 읽어 주는 옷이 있다면 어떨까? 읽고 싶은 게 있다면 소매에 있는
스위치
를 누른다. 그러면 손목에 달린 스캐너가 글을 읽어 이어폰을 통해 음성으로 들려준다. 할아버지, 할머니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점자가 아닌 일반 문서를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이런 관점에서 환자 스스로 견디기 어려운 정도의 통증이 온다고 생각될 때마다 스스로
스위치
를 눌러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개발된 것이 일회용이나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약제투여기다 이때 환자가 무분별하게 약제를 투여하는 일을 막기 위해 투여기에 적절한 잠금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시판을 개시했는데 비교적 새로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속한다 용도는 커넥트
스위치
텔레비전튜너 등 전자부품, 범퍼 연료펌프 탱크 캡 등 자동차부품, 키보드 팬 등 정보기기에 유리섬유를 강화한 제품이 널리 쓰인다화면상에 나타나는 가로 세로의 비율 종횡비는 VGA와 MCGA에서만 정방형의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생생하게 표현하려면 빛을 내는 발광부분(화소)을 전기적으로 켰다 꺼야 한다. 여기서
스위치
역할을 하며 원하는 색과 영상을 재현하는 것이 박막트랜지스터다. 이런 박막트랜지스터를 활용한 LCD는 하나의 화소마다 전자소자가 있어 제어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동영상을 처리하는데 유리하다. ... ...
과학자들의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발견한 조셉슨 효과를 이용해서 만든 이 소자는 10ps(피코초:1ps=1천억분의 1초)정도 고속
스위치
작동을 한다 이 수치는 실리콘보다 훨씬 빠르며 또 소비전력도 실리콘소자의 1천분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컴퓨터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반사경을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 ...
PART3 똑똑한 자동차의 비밀 베스트7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Remote Park Assist)는 운전자가 차에 타고 있을 필요도 없다. 차에서 내려 리모컨에 있는
스위치
를 누르면 된다. 단 차고 벽에 반사경을 설치해야 차안의 카메라가 장애물과의 거리를 계산해 자동차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차고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기술은 2009년경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p-n-p-n 접합에 의한
스위치
특성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素子)의 총칭 외부회로에서 보면
스위치
와 등가(等價)인 두 개의 안정상태를 갖고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또는 그 역(逆)의 대체(代替)를 행한다 생물과 기계를 포함하는 계(系)에서 제어와 통신 문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공학 N 위너가 194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한쪽 창문에다 가로세로 10cm에 높이가 40cm인 반도체 망원경을 붙인다. 이따가 자기 전에
스위치
를 올려놓으면, 이화여대 박일흥 교수가 개발한 이 망원경이 ‘고층번개’를 포착하게 된다. 고층번개는 보통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일반 번개와 달리 구름에서 하늘로 올라간다. 반지름과 높이가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 교수는 “마스터유전자 하나만으로 줄기세포 분화과정에서
스위치
를 켜고 끄듯 방향을 정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며 “중요한 것은 생체 내의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 호르몬의 상호작용”이라고 강조했다.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은 계단식으로 떨어지는 폭포에 비유될 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