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온도를 올려라, 초전도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카메르링 오네스는 끓는점이 영하 269℃인 헬륨을 액체 상태로 만드는 데 성공하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구현했습니다. 오네스는 이 액체 헬륨을 이용해 수은을 냉각시키며 저항을 측정했어요. 그런데 수은의 온도가 영하 269℃가 되자, 갑자기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초전도 ... ...
- [기획] 꿈★은 이루어질까?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 ‘LK-99’를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했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들썩였어. 정말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면 노벨 물리학상은 따 놓은 당상인 데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비롯해 일상이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지.상온 초전도체는 아직 검증 중이지만, 안타깝게도 ... ...
- [숫자로 보는 뉴스] 꿀잠 자고 싶다면 많이 걸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수면의 질이 높아질수록, 침대에 누워서 보내는 시간은 줄어들었지요. 또, 연구팀은 전 세계의 어른들이 평균★적으로 잠드는 시각은 오전 12시 1분이고, 일어나는 시각은 오전 7시 42분이라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나라별로 일어나는 시각은 비슷했지만 잠드는 시각은 조금씩 달랐지요. 소득★이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아닌 다른 물질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연구팀이 이석배 연구원팀의 논문에 나온 제조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연구팀도 LK-99가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했어요. 검증은 지금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위도와 경도는 지구상에서 특정한 국가나 지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전 세계가 약속한 기준이에요. 둥근 구 모양의 지구에 가상의 가로선인 위선과 세로선인 경선을 표시해 만들었지요.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180등분 한 뒤 특정 위치가 남쪽과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 ...
- 넘쳐 흐르는 바닷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하는 것은 기후변화예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30년 동안 전 세계 해수면이 매년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를 지난 6월 공개했습니다.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해수면은 1993년에 비해 10cm 이상 높아졌지요. NASA는 “지구가 뜨거워지고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 ...
- [만화 뉴스] 세계기상기구, “올해 7월은 역대 가장 더운 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높아지는 현상인 엘니뇨가 기후위기로 인해 더욱 강력해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세계기상기구 페테리 탈라스 사무총장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타이어 교체 세계기록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되는 거 아니냐고요? 품종 개량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식탁 뒤에서 조용히 벌어지는 종자 전쟁에 대해 알아봐요. 햇빛이나 달빛에 비쳐 반짝이는 잔물결을 윤슬이라고 해요. 사진과 착각할 정도로 사실적인 이 윤슬 그림, 먹으로 그렸다면 믿겨지시나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어린이의 미디어 참여는 권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반드시 미디어 안에서 목소리를 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회 참여는 우리가 사는 세계를 좀 더 좋은 세상으로 만드려는 활동을 뜻하는 말입니다. 어린이의 미디어 참여는 아주 소중한 권리랍니다. 국제사회에서는 어린이들의 참여권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참여권이란 자신의 생활에 영향을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단위가 정해지기 전까지는 나라마다 각기 다른 기준으로 길이를 측정했어요.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의 교류가 점점 늘면서 단위가 달라서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지요. 과학자들은 언제, 어디서, 누가 재더라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단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1791년, 프랑스 과학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