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숙제! 학생들은 첫 수업에서 배운 공룡의 골격 구조를 토대로 자신이 받은 뼈가 어느 부위이고, 어떤 종류의 공룡이었을지 추측했어요. 이후 자 신이 추측한 모습의 공룡을 철사와 지점토로 직접 만들어보고 이름도 붙였지요.마지막 수업은 학생들이 이름 붙인 공룡을 발표하는 자리로, 멘토인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역할을 해요. 백혈구가 많아야 외부 물질과 효과적으로 싸울 테니까요. 모기에 물린 부위가 빨갛게 부푸는 이유도 확장된 혈관에 혈액이 많이 몰리기 때문이랍니다. Q. 철판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임현섭 (gomad78)A. 뜨거운…, 이 아니라 축축한 올여름! 이번 여름엔 내내 비가 와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금도끼는 사양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후 외부에서 주는 자기장의 방향을 바꾸며 스마트 소재의 어떤 부위는 늘리고, 어떤 부위는 수축시키면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요. 원하는 모양을 완성했다면 온도를 58℃ 이하로 낮춰 스마트 소재를 다시 딱딱하게 만들면 되지요. 김지윤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소재는 유연한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댑톨레스테스(Daptolestes) 속 파리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뚜렷한 허리를 갖고, 가슴 부위에 앞쪽으로 뾰족이 나온 2~3개의 강모*가 있다면 휴모롤탈리스, 길고 좁은 복부에 수많은 작은 강모를 가지면 댑톨레스테스로 구별할 수 있답니다.생물에 공식적인 학명을 부여하는 것은 종 연구에 대한 ... ...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Q 우리 입속에는 어떤 미생물들이 생물막을 만드나요? 입속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부위는 크게 부드러운 조직과 단단한 조직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단단한 조직’이 치아예요. 평소에는 침이 치아 표면을 얇게 덮고 있고, 침에 들어있는 미생물이 치아에 붙어 생물막을 만들죠. 이들이 만든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고래상어는 어류 중 가장 몸집이 큰 동물이에요. 열대 및 따뜻한 기후의 바다 전역에서 발견되며,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죠. 평균 몸길이는 10m 정도이며, 20 ... 시야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어요. 용어정리* 홍채 : 눈의 검은자위를 둘러싸고 있는 부위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얼굴인식 기술은 얼굴을 촬영하여 눈, 코, 턱, 광대뼈 등 얼굴 부위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 후, 기존에 학습한 얼굴 데이터와 비교하여 누구인지 알아내요. 즉, 수집한 얼굴 데이터가 많을수록 얼굴을 더 잘 인식할 수 있어요.이때, 인종에 따라 학습한 얼굴 데이터의 양이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여섯 점을 학생들에게 나눠주었어요. 다음 수업까지 이 뼈가 어떤 공룡의 것일지, 어떤 부위일지 추측해서 조사하고 발표하는 것이 숙제! 학생들은 각자 화석을 하나씩 받아들곤 수치를 재고 생김새를 요리조리 뜯어보면서 연구 노트에 그림을 그렸어요. 그리고 연구원님과 함께 어떤 공룡인지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있었지요. 이어 자궁 초음파 검사를 했어요. 강현구 교수님은 혹시나 떼어낸 자궁 부위에 염증이 생기지 않았을까 걱정하였지요. 다행히도 우려했던 문제는 없었습니다. 그제서야 강현구 교수님의 얼굴에 미소가 번졌어요. 국내 최초로 대형 고양잇과의 복강수술이 성공한 순간이었답니다.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나뉘어 있지요. 이처럼 센서를 얇게 만들고 칸을 나누는 이유는 각 입자가 검출기의 어느 부위를 지나갔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예요. 입자가 특정한 층과 칸을 지날 때마다 발자국을 기록하거든요. 따라서 센서의 두께가 얇을수록, 칸이 작을수록 입자의 경로와 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요.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