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위원소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방사성동위원소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 방사선의 정체 인공방사선의 위협이 가장 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방사선은 꼭 원자력발전 혹은 핵폭발에 의하지 않고도 곳곳에 산재해 있다.우주에서 날아들어오는 방사선이 있는가 하면 우리가 딛고 서있는 지표면 혹은 지구의 중심부에서도 방사선은 항상 존재해 있다. 이같은 것을 통틀어 부르는 환경방사선은 크게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으로 분류되며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1964.7mBq이 검출됐고 서울지역에서는 2일 1413.4mBq이 최고치로 검출됐다. 이를 종류미상인
방사성동위원소
의 공기중 허용농도인 1m³당 0.74mBq과 비교해 보면 광주지역은 최고 2천8백배, 제주지역은 2천6백배, 서울지역은 1천9백배나 각각 허용치를 한때나마 초과했다는 계산이 나온다.강수물의 경우 ... ...
효소와 같은 화합물의 합성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같은 유기합성분자가 쓰일 수 있다. 같은 이치로 방사능에 노출된 사람에게서
방사성동위원소
만 제거해낼 수 있는 일종의 방사선방어 약제도 만들어 낼 수 있다.이 분야는 앞으로 생물학 약학 농학 의학 에너지산업등에서 널리 이용될 전망이며 이용가치도 크다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감마선은 66만 eV의 에너지를 갖는다. 식품방사선처리에는 종종 코발트60, 세슘137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를 사용하는데, 이는 이 동위원소들이 비교적 풍부하고 그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이 적절하게 사용되면 식품에 방사성을 띠게 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코발트60이나 세슘137에서 나오는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물리적 반응을 추적하는데 많은 관심이 있었다. 1947년 그녀는 이 원호병원 수위실 하나를
방사성동위원소
연구실로 개조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공동연구자로 의사 한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원효병원 의학부장에게 누구 한분을 추천해 달라고 했다. 그가 보낸 사람은 명석한 머리를 가진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하여 수많은 인공방사성원소를 만들었다. 거의 모든 비방사성원소가 중성자로 때리면
방사성동위원소
로 바뀌는 것을 발견한 데서부터 이 실험은 시작되었다. 느린 중성자가 ·원자들의 집합을 통과할 때 원자핵과 충돌할 확률과 그것이 충돌하는 원자핵에 잡힐 확률도 커진다. 페르미의 발견후 ... ...
호남지역 유일의 한의대로 인기높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학생의 대부분이 호남출신, 30%정도가 장학금을 받을정도로 입학성적도 좋다. 한의학(韓醫學) 하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침이나 뜸을 연상하고 각종의 약초들로 조제한 첩약들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물론 오늘날도 이런 것들이 한의학의 기본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최근의 한의학은 현대과학의 ... ...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유전자나 그와 관련있는 DNA가 이미 입수된 경우에는 일이 쉽다. 이미 클로닝된 DNA를
방사성동위원소
로 표시하면, 적당한 조건에서 표시된 DNA('탐색침'이라고 한다)는 목적하는 클론의 DNA와 잡종분자를 형성하므로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관련유전자를 입수하지 못한 유전자를 분리하기는 어렵다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현재의 원자력병원은 마치 '국립암센터' 같은 기능과 규모를 갖추고 있읍니다만, 원래는
방사성동위원소
를 의학에 활용하겠다는 취지에서 원자력연구소 산하 방사선의학연구소로 출발했었지요. 이때가 62년도였고, 병원업무를 시작한게 68년의 일입니다. 그후 계속해서 병원규모가 커지고 또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원자력발전사상 최악의 사고로 기록된 지난 4월의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사건은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인간의 실수로 시작되었다. 체르노빌 원전에는 원자로의 비상용 펌프와 다른 시스템들을 가동하기 위한 보조용 디젤 발전기가 있었다. 그런데 무슨 이유 때문인지 이 발전기들이 ... ...
이전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