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d라이브러리
"
모순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으로 상정했다 이 에테르에 대한 검토가 진전됨에 따라 이전의 광학 전자기학에 대한
모순
이 점차 밝혀졌고 상대성이론이 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에테르란 물질을 실험적으로 찾아내는 과정에서 오히려 이 물질의 존재는 부정됐다 따라서 에테르는 연금술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으로는 존재했지만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제도는 천의 얼굴을 가졌다. 넓게 펼쳐진 모래사막과 만년설이 만나는 절묘한
모순
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테네리페(Tenerife)섬은 카나리아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섬 남쪽은 기괴한 바위들이 있는 사막과 흘러내리다 식어 굳은 용암 지대가, 섬 북쪽은 바나나, 토마토, 감자를 재배하는 푸른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키면 분명 한계가 있다. 플래시메모리의 ‘원죄’다. 플래시메모리는 기술적으로 일면
모순
되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 플래시메모리는 전기 제품이다.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플래시메모리는 전기가 없어도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는다. 그래서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림에서 얼굴과 흰색 꽃병 2가지 상이 보이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역리도형 착시란
모순
도형 혹은 불가능도형을 말한다. 펜로즈의 삼각형처럼 부분적으로 보면 가능한데, 3차원적으로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도형이다. 가현운동이란 영화처럼 조금씩 정지한 영상을 연달아 제시하면 연속적인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에테르라는 고전물리학의 가설들이 빛의 속도나 전자기유도와 같은 현상에서
모순
을 낳고 있음을 인식한 뒤 시간의 동시성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또 절대좌표계를 부정하는 대신 물리량 사이의 관계, 즉 물리 법칙의 절대성이 만족되는 새로운 변환식을 고안했다.이는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없었다. 뭐가 잘못된 걸까? 나는 상대운동의 원리와 맥스웰 이론 사이에 뭔가 근본적인
모순
이 있다고 느꼈다. 아직 물리 지식이 깊지 않았던 나는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는 힌트를 찾은 것에 만족했다.취리히빛의 속도가 일정할 것이라고 짐작하다 1896년 가을 연방공대에 입학한 후에도 복잡한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색은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었다. 그래서 무지개 색은 진정한 색이 아니라는 식으로
모순
을 피해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공기 중의 물방울과 무지개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해 무지개 색은 빛과 물방울의 그림자가 적당한 비율로 섞여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처음으로 빛을 나눠 무지개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않는다.공간의 변화가 무한할 수 없고, 시간이 아예 흐르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모순
이 생긴다면 속도가 무진장 커질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우주상에는 최대 속도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또 최대 속도는 관측자에 따라서 달라져서도 안된다. 관측자에 관계없이 일정해야 한다. 만일 일정하지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닐까.예전에 읽은 ‘신의 과학’(Science of God)이라는 책은 상대성이론을 이용해 이런
모순
을 피해가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 일반상대론에 의하면 중력이 강한 곳을 보면 시간이 늦게 흐른다. 예를 들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사람을 지구에서 관측하면 무한히 천천히 빨려 들어간다. 그러나 빨려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초끈이론은 우리의 세계를 10차원 시공간으로 확장했다. 초끈이론은 10차원에서만 수학적
모순
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10차원 시공간은 90년대 들어 11차원으로 확장된다.그렇다면 4차원 외에 나머지 공간은 어디에 있는가. 초끈이론은 “나머지 6차원은 보이지 않도록 작게 말려 있다”고 대답한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