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는 11, 1111111111111111111처럼 1을 반복해서 쓴 수가 소수일 때 3304, 1540, 1720, 2170, 2440, 5590 등을 곱하면 만들 수 있고, 무한하다. 앞으로 또 어떤 수학에서 소수를 발견할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는가? 만약 내가 최초로 발견한 어떤 형태의 소수가 있다면 자신의 이름을 붙일지도 모른다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원본 그대로 조작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 또 사이버공간에서 신분을 확인하는 ‘주민등록증’ 역할도 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를 생각하면 된다. 이때 가장 많이 쓰이는 암호가 공개키 암호 중 하나인 ‘RSA 암호’인데, 그 원리의 핵심이 바로 소수다. 공개키 암호는 암호화하는 ... ...
- [전지적 독자 시점] 온가족이 외계 생명체에 대한 상상을 많이 하는 편이라 더더욱 관심이 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이디어라니! 심지어 귀여운 ‘혹등고래’와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군요. ‘혹등고래 통신 시스템으로 외계 생명체와 대화를?’ 아이템이 독자위원회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한 건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을지 모릅니다. 독자위원회가 좋아하는 2가지가 들어있으니 말이죠 ... ...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포유류 중 고양이, 개, 소 등이 휘판을 가지고 있고,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 다람쥐, 돼지 등은 휘판이 없다.순록은 포유류 중 유일하게 휘판의 색이 변한다. 여름에는 다른 포유류처럼 황금색을 띠다가 겨울에는 짙은 파란색이 된다. 휘판이 선명한 파란색으로 변하면 자외선이 눈으로 들어오게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프로그램, 음악, 영화가 CD로 출시됐다. CD의 뒤를 이어 DVD, Blu-Ray 등 발전된 광학 매체가 등장했다. < 자기장 > 정보 밀도: 3.10×109bits/mm3 컴퓨터 과학자들은 20세기 초부터 자기장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를 만들었다. 이중 가장 성공한 장치는 당시 컴퓨터 기업이었던 IBM이 1957년부터 상업적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유출을 우려해 산업 현장에서 중국 등 해외 4족보행 로봇을 사용하기보다 한국에서 생산된 로봇을 사용하려고 하는 시장의 니즈도 있습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경우 한국에서 재료 수급을 해서 4족보행 로봇을 직접 만들 수 있는 공장을 2023년 10월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방대한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특성(시각, 청각 등 여러 감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특성)과 최신 법률, 판례를 검색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응답하는 능력을 동시에 갖춘 ‘하이브리드 AI’(예를 들면 RAG-multimodal GPT)일 것이다. 예전엔 상상도 못했던 AI 판사가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받는다는 뜻이죠. 원형 탈모의 경우 유전율은 매우 낮습니다. 유전자보다는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돌이켜보면, 제가 원형 탈모를 앓았던 때 역시 스트레스가 큰 대학원 졸업 무렵이었고요.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받은 후 며칠은 무슨 일만 생기면 ‘유전자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유통망을 파악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무적 측면에서 인력으로 인한 한계나 외교적 문제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데이터에 이상한 구석이 있어 살펴봤더니, 이거 마약이더라고요.”아니나 다를까, 분석 결과 늑대 씨의 머리카락 샘플에서 코카인이 발견됐다는 전화였다. 이제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데이터인 ‘wav’를 사용해 음악 생성 AI를 개발한다. 이에 반해 포자랩스는 악보 정보 등 작곡 데이터 수정이 용이한 음원 데이터 ‘midi(미디)’로 생성 AI 모델을 개발했다. 미디 데이터에는 악보 정보가 담겨 있어, 인간이 악기를 다루는 것 같은 연주법을 개발할 때도 유용하다. 포자랩스는 그동안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