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장"(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진로 고민으로 슬럼프에 빠져 있을 때 구디너프 교수는 이렇게 조언했다. 지금 상황에서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하나 찾아 최선을 다해보라고. 그게 지금은 뭔지 몰라도 미래에 하려고 하는 일과 연결돼 있을 것이라고 격려했다. 당시 필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실험과 논문 집필뿐이었는데, 놀랍게도 ...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당장 백신을 개발할 수 없다면 바이러스가 퍼지지 않도록 막는 게 중요해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에서 인공지능(AI) 돼지 안면 인식 기술을 시험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으로 떠났어요. 비행기를 타고 중국 쓰촨성에 도착했어요.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모두 ‘부루마블’ 때문일지도 몰라요. 보드게임을 한번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 당장 빈 종이를 꺼내 들고 숫자 카드부터 만들어보세요. 다 그렇게 시작하는 거 아니겠어요? 2단계. 카드와 주사위 숫자 정하기 #확률과_경우의_수 호기롭게 A4용지를 잘라서 원하는 만큼 숫자 카드를 만들었다면, ... ...
- [핫이슈]도전! 캐나다 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오로라, 고래, 불곰, 고대 숲을 경험하고 싶다면? 와 캐나다관광청, 에어캐나다가 함께 하는 캐나다 탐험대에 도전하세요! 선발된 어과 ... 중 어디로 갈지 고민은 이제 그만! 일석삼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스탠리 파크에 지금 당장 투표해 주세요! 협찬★캐나다관광청,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러면 자연스럽 게 생물을 보호하는 데 힘 쓰게 되겠죠. 전통지식을 모으는 건 지금 당장 과학적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쓸모를 찾기 위해서만은 아니에요. 미래에 생물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투자이기도 하답니다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당장 쓸모없어 보이는 연구가 우리의 삶을 바꾸기도 한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와 짐 쿠퍼 미 하원의원(테네시)은 2012년 미국 정부의 기초과학 예산 삭감에 반발하는 의미로 허황돼 보이지만 인류에게 큰 영향을 끼친 연구에 수여하는 ‘황금거위상’을 만들었다. 올해 9월 9일 ‘제8회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수면 시간을 쪼개 학습에 쓰는 것이 당장 성적을 올리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에는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뻔한 얘기 같지만 잘 먹고, 잘 자고, 적당히 운동하고, 그리고 남은 시간에 다양한 활동을 ... ...
-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방사성 오염수 100만t(톤) 이상을 태평양에 방류하는 방안을 공론화했습니다. 오염된 물이 당장 바다를 통해 한국으로 흘러들지는 않을지 걱정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일본은 왜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을 세웠을까요. 방류된 오염수는 언제, 어떻게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까요. 후쿠시마 오염수에 ... ...
- 리그 오브 레전드 만드는 챔피언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마련하려고 많은 시간 고민했죠. 플레이어들의 신뢰를 찾는 게 우선이라 생각해 당장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선물 이벤트도 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게임 핵을 잡아내는 시스템을 게임에 넣었고, 욕을 쓰는 플레이어를 엄격하게 제재했죠. 솔로 랭크 게임 역시 저희가 본사를 설득해서 부활시켰고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레지던트 과정을 밟고 있던 써스크 박사는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신문 광고를 보고 당장 지원했다. 캐나다가 우주왕복선의 원격 조작 시스템인 로봇팔을 개발하는 것에 대해 NASA가 감사의 표시로 유인 우주비행을 함께 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써스크 박사를 포함해 총 4400여 명이 우주인 선발 과정에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