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d라이브러리
"
단일
"(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879) -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 당시 별개의 힘으로 이해하던 전기력과 자기력을
단일
힘으로 통합해 전자기학을 확립했다. 전기력이 자기력을 유도하고, 자기력이 다시 전기력을 유도한다는 것을 설명한 ‘맥스웰 방정식’이 유명하다.][빨간 입자가 뜨거운 분자, 파란 입자가 차가운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그러나 아직 한계도 있다. 현대과학이 만들 수 있는 메타물질은 빛이든 소리든
단일
주파수에만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주파수를 갖고 있는 빛과 소리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투명망토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교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브로드밴드)에 대응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망망대해에 숨은 잠수함 한 대만 쫓던 러시아는 얻을 수 없는 성과였죠.”김 교수는
단일
대상 대신 떼 지어 다니는 물고기, 여럿이서 함께 움직이는 스쿠버다이버들을 동시에 추적하려는 과정에서 신기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양국의 융합연구가 이룬 첫 번째 쾌거다. 수중 GPS 기술이 향상되자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사 활성과 전통 동양 의약품의 약효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제된
단일
성분인 화학 약품과는 달리 수많은 성분의 복합체인 천연물 약품의 경우 장에 흡수돼 혈관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성분이 많지만 대신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인체에도 작용한다는 말이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표적분자가 없을 때는 앞의 육면체 나노박스처럼 뚜껑의 DNA
단일
가닥(앱타머)과 본체의 DNA
단일
가닥이 이중나선으로 결합해 잠겨있다. 뚜껑을 열려면 앱타머의 표적단백질(열쇠)을 넣어주면 된다. 앱타머가 열쇠와 결합하면서 자물쇠(이중나선)가 풀리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은 이 나노박스를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달아 저명한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논문을 게재해 주목받았다. 2011년 논문은 ‘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최초로 진핵생물에 적용해 유전자 정보를 해독해낸 성과다. 세포 하나만 있어도 전체 게놈을 분석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지난 2월 17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은 조류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근적외선에 집중돼 있어 스피처우주망원경의 대체 역할까지 한다. 구조도 독특하다.
단일
반사경으로 된 허블우주망원경과 달리 6각형 모양의 거울 18개가 모여 지름 6.5m짜리 주 반사경을 이룬다. 접힌 채로 발사돼 우주에 올라간 뒤에 펴진다.막 태어난 젊은 별이나 수명을 다하기 직전의 나이 든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단일
교과형 문제가 주로 나온다. 특히 수학은 과학과 통합하지 않고, 과학도
단일
과목 중심으로 나온다. 게다가 고려대는 수학문제는 필수로 풀고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개 논제 중에서 2개 논제를 선택해 풀도록 한다. 수시모집은 교과성적 반영비율이 50% 정도로 비교적 높다.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즉 0.3초 부근이 볼록한 작은 혹과 30초 부근이 볼록한 큰 혹 모양이다. 이는 감마선폭발이
단일
한 현상이 아님을 강하게 시사한다.천체물리학자들은 감마선폭발의 두 가지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첫 번째가 감마선 지속 시간이 2초 미만인 ‘짧은 감마선폭발(short GRB)’로 관측된 감마선폭발의 30%를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대해 묻는 사람이 많다. 교모세포종은 전체 뇌종양의 12~15%를 차지한다. 뇌에서 발생하는
단일
종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이다. 환자는 진단 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치료를 해도 기껏해야 15~18개월 남짓 사는 것이 전부다. 드라마에서 이강훈의 어머니 김순임(송옥순 분) 역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