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마리
조건
처음
시작
발단
서두
효시
d라이브러리
"
단서
"(으)로 총 823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시리즈에 관한
단서
를 발견할 수도 있다. 영화 속에 쿠키 영상이 총 2개가 있다고 하니
단서
를 알고 싶다면 한 장면도 놓치지 말자. 특히, 영화의 모든 크레딧이 사라지기 전에 절대 엉덩이를 떼지 말자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존재한다. 동결방지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비밀을 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서
는 유전체 정보다. 이를 위해 극지연구소는 2009년부터 남극어류의 유전체 해독을 시작해 2014년 남극대구, 2017년 남극드래곤피시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올해는 아이스피시의 유전자 지도를 공개할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소리’로 불리는 라디오 파열음(FRB)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단서
가 밝혀졌다. 제이슨 헤셀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교수팀은 “자기장이 매우 강한 중성자별에서 라디오 파열음이 생성됐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10일자에 발표했다. 라디오 파열음은 초신성 폭발 등으로 생긴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됐고, 뇌 영역과 기억 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
를 제공했습니다. 뇌과학자들은 이런 사례를 통해 ‘뇌의 영역별 역할을 실험으로 확인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동물 뇌의 특정 부위를 절제해 행동 변화를 관찰 하거나, 전기 ... ...
Intro. 달이 태양을 꿀꺽! 개기일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난 태양의 비밀을 연구하는 개 과학자 ‘핫도그’야. 오늘 태양의 비밀을 푸는 중요한
단서
를 제공하는 개기일식이 있다고 해서 그 현장으로 달려가고 있어. 그런데 엇…! 벌써 해가 가려지고 있잖아! 개기일식 장면을 놓치지 않게 서둘러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달이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아프리카 케이프타운대학교 연구팀은 도도새의 다리뼈 화석을 분석해 성장 과정에 대한
단서
를 찾아냈어요. 도도새처럼 날지 못하는 새의 뼈 단면은 3가지 층으로 나뉘는데, 나이에 따라 뼈에서 각 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져요. 성장하는 시기에는 뼈의 맨 안쪽 층의 비율이 가장 크고, 성장을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연구를 이끈 로저 우리츠 교수는 “회전 속도는 천체의 형성 과정을 알아낼 수 있는
단서
가 된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태양의 형성 과정을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최근 폐쇄회로(CC)TV가 많이 설치되면서 범죄 현장이나 근처 영상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단서
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CCTV가 닿지 않는 사각지역이나 실내에서 발생한 사건의 경우에는 몽타주가 큰 역할을 한다. 경찰청은 1996년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인 인포테크에서 개발한 몽타주 시스템을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9월 19일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약 370명이 숨지고 6000명 이상이 부상을 당했다. 그런 가운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진이 단층이 파열되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특수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22일자에 게재했다. 현재까지 지진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온전하게 남아 있다는 게 발견됐다. 하지만 사망 원인을 추정하려면 이보다 구체적인
단서
가 필요하다. 장기 내에 남아 있는 유기물을 추출하면 여러가지를 밝힐 수 있다. 신 교수는 서민 단국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와 손을 잡았다. 미라의 장에 남아 있는 분변이나, 농양(고름덩어리)에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