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삿일
농산업
농업
농사
d라이브러리
"
농사일
"(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밤하늘의 달을 본 적이 있나요? 달에 대해 알고 싶다면 먼저 달을 자세히 보는 것이 그 첫걸음이에요. 아주 오래전부터 밤을 비추어 주는 달을 보며 사람들은 달에 무엇이 있을까 궁금해 했어요. 옥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다거나 여신이 산다고 생각하기도 했지요. 오랜 시간이 흘러 그 궁금증을 풀기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난 9월 24일 일본 도요오카시에서는 추수가 끝나 한적한 들판이 때아니게 사람들로 북적였다. 조그마한 시골 마을에 이렇게도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나 싶을 정도였다. 처음 겪는 교통체증에 시골 경찰들은 어쩔 줄 모르고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아예 차를 포기하고 멀찍이서 걸어오는 사람들의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하늘에는 수많은 행성이 존재한다. 그 행성들은 오늘도 황도를 따라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행성이면서도 주요 행성에 끼지 못한 채 알아주는 이 없이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 이번 달에는 소행성에 관심을 가져보자.세레스의 첫 발견천문학의 역사에서 하나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매년 봄이면 중국에서 불어오는 모래바람 때문에 숨조차 쉬기 힘들다. 여름에는 땅이 쩍쩍 갈라질 정도로 비가 오지 않다가 갑자기 게릴라성 폭우가 퍼붓기도 한다. 가을에는 때 이른 서리나 우박으로 한 해 농사가 한순간에 사라진 적도 많다. 지구온난화, 기상이변, 엘니뇨. 지구가 이상 징후들로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지난 1월 17일 서울행정법원은 새만금간척사업에 대해 조정권고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정부는 여기에 이의를 제기했고, 지난 2월 4일 재판부는 다시 한번 새만금간척사업을 취소하거나 변경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얼마 전 정부가 또다시 항소해 새만금간척사업은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지리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남아메리카대륙에서 4천3백70km의 길이를 굽이쳐 있는 세계에서 가장 긴 나라 칠레에는 우주의 비밀을 캐기 위해 건설된 천문대들이 많다. 특히 한반도보다 더 넓은 북쪽의 아타카마사막에 우뚝 솟아 있는 해발 2천6백45m의 파라날산에 있는 천문대가 유명하다. 이곳은 사막과 고지의 특성을 모두 갖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갯벌 이야기’의 가장 큰 미덕은 책을 펼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사진이다. 갯벌에 몸을 숨긴 키조개와 펄에서 노는 짱뚱어의 모습이 갯벌의 생동감을 그대로 전해주고, 갯가에서 백합과 주꾸미를 잡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이 정겹게 느껴진다.‘갯벌 이야기’는 그냥 넘겨보면 사진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지난해 10월 영국 BBC 방송은 “한국인 과학자가 1만5천년 전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를 발견했다”고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이 특종의 주인공은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의 이융조 교수(62). 이융조 교수는 세계적인 구석기 전문 고고학자다. 그가 발굴한 유물은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와 세계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쌀을 맺는 식물, 즉 벼는 아열대성 식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오늘날 인도나 태국 등 남아시아에는 여기저기 야생벼가 자생하고 있다. 그렇다면 벼의 재배는 언제 어디서 시작됐을까?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야생벼가 발견되는 남아시아가 기원일 것이다. 실제로 인도의 콜디와와 인도네시아의 셀레베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박성래끼파파 스머프. 한국 외국어대 사학과 박성래 교수에게 제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늘 만면에 인자한 웃음을 가득 담은 표정으로 말하는 모습이 닮아서다. 그리고 다소 엉뚱해보이는 농담을 잘 하기에 더욱 그렇다.한 예로 박 교수는 ‘박성래 달력’을 만들자고 공공연하게 제안한다. 그는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