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관
국립
d라이브러리
"
국립과학관
"(으)로 총 26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모든 학문의 귀결점은 인간에 대한 이해입니다. 이제부터 저와 함께 우리 자신이 누구인가를 생각해보는 여정을 시작합시다.”아직 쌀쌀함이 느껴지는 4월초, 기자는 ‘인류의 진화·한민족의 기원전’ 이 열리고 있는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을 찾았다. 3일 연휴가 시작되는 토요일인데다 아직 오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예로부터 선조들은 밥을 단순히 생명유지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밥이 보약’이란 말도 여기서 왔을까. 상차림이 부실해도 맛깔스런 밥 한사발이면 족하다란 표현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우리네 입맛이 밥맛 하나에 이토록 민감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손맛이 반찬맛을 좌우한다면 밥맛을 결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조선 초기 백성들은 지금의 기상청인 서운관의 관리가 치는 종소리를 듣고 시간을 알았다. 관리는 물시계를 보고 일정한 간격으로 종을 쳤다. 이 종소리에 따라 한양의 성문도 열리고 닫혔다. 그 후 세종 때 장영실은 일정한 시간마다 자동으로 종을 치는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었다. 물시계는 물 ... ...
인간 닮은 로봇 총출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국내외 유명 로봇과 영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희귀 로봇이 방학을 맞아 12월 20일부터 서울
국립과학관
에서 소개되고 있다. 국산 휴머노이드의 테이프 커팅으로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일본 두나라에서 출품된 2백여점의 실제 로봇과 모형이 전시된다.진기한 로봇들 다나와이번 전시회에는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조금 전까지 컵 안에서 찰랑거리던 물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물이 어디로 사라졌을까 어리둥절해 하는 학생들은 전석천 교사의 능청스러운 미소에 무엇인가를 알아챘다는 듯 웃음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아~ 어떤 과학적 반응이 컵 속에서 일어났구나.’ 학생들은 1시간 남짓 진행된 사이언스 쇼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國立科學館)이 주관하여 교육부·농수산부·상공부·동력자원부의 후원하에 매년
국립과학관
전시설에서 열리는 전람회 심장의 영양공급 혈관인 관상동맥이 경화하여 생기는 허혈성(虛血性) 심장질환 관상동맥의 내강에 지방·콜레스테롤·석회 등이 침착하여 협착 또는 폐색을 일으켜 심근(心筋)의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책제목처럼 ‘우연과 필연’으로 엮어졌다고 봅니다. 계통분류학을 공부하기 시작해
국립과학관
에서 첫 직장을 잡았던 것이나 미국에서의 박물관 연수 그리고 프랑스 자연사박물관에서 공부를 하게 된 것은 모두 우연의 연속이었어요. 불어를 공부한 것도 그렇죠. 그러나 이들이 톱니바퀴가 ... ...
김정호의 옥사 이야기는 일제의 조작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국립서울과학관에 마련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가면 과학선현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접할 수 있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마련한 이 전당에서는 최무선 장영실 이천 이순지 허준 홍대용 김정호 우장춘 이원철 이태규 안동혁 현신규 최형섭 이호왕 등 14명의 생애와 업적이 소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우리는 한국과학사를 잘 모른다. 가장 큰 요인은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외국어대 사학과의 박성래 교수는 한국과학사를 다룬 저서에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만큼 우리들 사이에는 한국과학기술을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는 세계과학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우리는 과학기술 홍보대사로서…’ 2002년 10월 8일 과학기술회관에 모인 수백명의 과학기술인들의 선서에는 과학기술을 제대로 알리고자 하는 과학기술인들의 굳건한 의지가 담겨있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 출범 5개월이 지난 지금 1백50명에 달하는 과학기술 홍보대사들이 전국의 방방곡곡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