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찾은 것이다. 쿠퍼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컴퓨터 과학을 부전공했다. 교수가 된 이후에도 두 학문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2016년 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런 점에서 컴퓨터로 소수를 찾는 GIMPS에 자연스레 관심이 쏠릴 수밖에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마이클 아티야 교수가 ‘리만 가설을 풀었다’라고 주장하면서 곧바로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의 뛰어난 인재들이 모이는 컨퍼런스 ‘하이델베르그 수상자 포럼’에 강연자로 초청됐다. 그리고 그의 강연은 하이델베르크 수상자 포럼 트위터를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평범한 수학자가 리만 ... ...
- [미술] 필자미상 해룡도, 조선 후기....청룡, 걱정 없이 노닐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두 마리용이 여의주를 갖고 놀고 있다. 황룡의 발 아래 출렁이는 파도가 그림의 역동성을 강조한다. 이 그림이 그려진 19세기 조선에서 쌍룡이 여의주를 갖고 노 ... 공기질을 관리하는 등 노력을 기하고 있다. 그림 속 걱정없이 유쾌한 두 용의 자태 뒤엔 과학의 손길이 숨어있는 셈이다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판스워스 영국 브리스톨대 고생물학과 교수팀은 2023년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을 통해 판게아 프록시마가 만들어지면 인류가 멸종할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doi:s41561-023-01259-3 대륙이 충돌하고 합쳐지는 과정에서 태양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포유류가 살기 적합하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대한 투자는 기초과학 그 자체를 위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목적을 위해 과학기술 연구를 이끌어왔던 사회 분위기는 지금도 남아 가시적인 성과를 요구합니다. 2015년, 서울대 공대가 ‘2015 서울대 공대 백서’를 통해 “단기성과와 양적지표로 평가받는 교수들이 만루홈런(고위험고가치 연구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DOI가 뭔가요? “왜 적혀있는 건가요?” 2023년 11월, 전독위 3기 송승민 독자(닉네임 소스)가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올린 질문입니다. 게시물에는 2023년 11 ... 일환입니다. 기사의 내용을 좀 더 깊게 알고 싶다면, DOI를 검색해 논문을 찾는 것도 좋은 과학동아 활용법이 되겠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습시킨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인간이 예술을 만드는 과정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해요. 인간 역시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나의 생각과 감정을 더해 예술을 표현하기 때문이에요. 아래 그림은 선생님이 직접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지.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그 답이 될 수 있을까? 과학마녀 일리가 알아 봤어! 아래쪽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음이 불에 활활 타고 있어요. 어떻게 얼음이 불에 탈 수 있는 걸까요? 사진 속 물질은 불타는 얼음이라고 불리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입니다.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어렸을 때는 목사가 되고 싶어 스위스 바젤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러다 과학자, 수학자를 많이 배출한 베르누이 집안 사람들과 만나면서 수학에 눈을 뜬다. 20세인 1727년에 러시아 제국의 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로 건너가 24년을 머무른다. 1735년에는 시력을 잃었는데도 천부적인 기억력과 ...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생물학자 조셉 코르보는 닭의 눈에서 이 같은 성질을 발견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미국 과학자 살바토레 토르콰토가 이와 비슷한 배열을 연구 중이었다. 바로 ‘상자 채우기 문제’를 풀고 있던 것이다. 상자 채우기 문제는 상자 안에 오렌지를 가능한 한 많이 담는 방법을 찾는 것처럼 특정 넓이나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