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스크
탈
복면
선잠
옅은 잠
페르소나
가장
d라이브러리
"
가면
"(으)로 총 1,1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공간에 ‘매장’됐다고 말해요. 예를 들어 볼게요. 3차원에 사는 뫼비우스 띠가 2차원에
가면
자기의 몸을 관통할 수밖에 없어요. 종이에 뫼비우스 띠를 그려보세요. 일부분이 교차하지 않고선 표현이 불가능하죠. 차원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당연히 3차원에서는 교차하지 않고도 잘 있을 수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소똥구리는 생태계에 이렇게 쓸모가 많은 곤충이라고. 그런데 몽골 소똥구리가 한국으로
가면
서식 환경이 달라질 텐데 잘 살 수 있을까?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는 한 가족!몽골에서 살고 있는 소똥구리를 우리나라에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과 배연재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걸어도 길이 있다는 거야. 신기한 건 절친이 있는 곳은 아래쪽이 그렇대. 둘 다 옆으로
가면
대각선으로 걷게 된대. 교생쌤 말로는 본인이 있는 곳과 절친이 있는 곳을 연결해야 뫼비우스 띠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답니다. “오로라를 보고 싶다면 최적의 가성비로 어디를
가면
좋을지 추천해 주세요!” 최은지 학생(목운초 4)의 엉뚱한 질문에 문경수 과학탐험가가 웃으며 대답해 주었어요. “북위 60° 이상에 있는 나라라면 오로라를 볼 수 있어요. 사실 남극에서도 오로라가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문제를 실은 미국수학회도 아직 모를 것이다. 아이들이 힘을 모아 문제를 풀어나
가면
김 원장은 풀이 과정에 오류가 없는지 살핀다. 지난 해에는 이런 방법으로 발견한 풀이 8개를 김 원장이 직접 영어로 번역해 미국수학회에 보냈다. 그중 하나는 미국수학회도 풀이가 맞다고 판단해 학생의 이름을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돌리고 싶은 지루한 시간일 겁니다. 그런데 평소 축구가 싫다고 말하는 사람도 경기장에
가면
재밌답니다. 그건 축구장을 지을 때 수학을 이용해서가 아닐까요? 한 번이라도 축구장에 가서 축구 경기를 본적이 있나요? 카메라를 통해 보는 경기와 실제 경기장에서 보는 경기는 엄청난 차이가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자기만의 필승 전략을 제시했죠. 그가 제안한 해법은 ‘격자’입니다. 새로 만든 동네에
가면
십자형 도로가 연속해서 놓여있죠? 이게 대표적인 ‘격자형 구조’입니다. 워커는 지하철역이 10개 이하 정도로 도시가 작을 때에는 모든 노선이 네모역처럼 개수가 적은 종류의 역에서 만나는 방사형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대수적 구조(코호몰로지)가 있는데, 기하학을 건너뛰고 조합론에서 대수기하학으로 바로
가면
이 성질을 만족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허 박사가 조합론에서 대수기하학으로 가도 여러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보이면서 로타 추측을 해결한 것이지요. 허 박사의 석사 과정 지도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그래서 학자들은 수학을 공부한 양반이 훨씬 많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조선 후기로
가면
실용적인 측면을 부각시킨 서양 수학이 중국을 통해 넘어 오면서 실학자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이규경은 ‘기하원본변증설’에서 기하학의 쓰임에 대해서 설명했고, 남병길과 남병철 형제는 수학,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듣는 자명종 소리, 점심으로 먹은 된장찌개까지 쪼개고 쪼개서 미시세계로 좁혀
가면
모두 원자로 이뤄졌다. 양자역학은 이런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