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2,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수사대 ‘능력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
못할 때 최면 수사를 활용하죠. 하지만 아직 최면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정확히 밝혀
지지
않았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쓰인답니다.위 여고생의 경우에도 최면 수사가 참고용으로 사용돼 범인을 잡는 데 도움을 준 경우예요. 여고생은 원래 자동차 번호를 ‘12□4’로 기억해냈어요. 하지만 최면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초창기부터 기관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정해
지지
않았지만 LSST에서 만들어진 방대한 데이터를 대중에게 어떻게 서비스할지, 구글이 관심이 많을 걸로 예상한다. Q. 방대한 관측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역대 추진된 천문학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큰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아직까지 그린란드 빙하가 무엇에 영향을 받아 녹는 속도가 달라지는지 정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어요.연구팀은 2007년부터 위성을 이용해 그린란드의 빙하를 관찰한 데이터와 이 지역의 기후 데이터를 조합해 빙하가 녹는 속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그 결과, 하늘에 구름이 덮인 흐린 날이 맑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속도로 일어나기 시작해요. 그 결과 세포의 수가 늘어나면서 몸에 필요한 기관이 만들어
지지
요.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가 완전한 개구리로 되기까지는 55일 정도가 걸려요. 융합 개념 파헤치기 개구리의 다양한 발생전세계에는 약 6400종이 넘는 개구리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들 대부분은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03
NSF의 뚝심지원과 빅독 이벤트온갖 비난에도 NSF는 흔들림 없이 라이고 프로젝트를 강력히
지지
했다. 라이고 건설과 중력파 검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프랜스 코르도바 NSF 이사장은 이번 중력파 관측 기자회견에서 “라이고는 위험성이 매우 큰 사업”이었지만 “선구적인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03
분석 전문가의 감정서용의자는 2004년부터 2011년 8년간 9차례 발목 통증과 염좌(관절을
지지
해주는 인대가 외부 충격에 의해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 진단 기록이 확인됐다. 이 진료 기록을 볼 때 용의자에게서 보이는 비대칭 보행과 우측 팔자 보행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행과 증상의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
수학동아
l
201603
함수 g가 작을수록 더 좋은 정리가 됩니다. 아직까지 더 좋은 함수 g가 있는지는 밝혀
지지
않았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어쩌면 세상 누구도 아직 알지 못한 것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03
좌우로 비대칭인 깃털이 필요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위로 뜰 수 있는 힘이 만들어
지지
요. 하늘을 나는 새의 날개에도 이런 깃털이 있어요. 놀랍게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대칭 깃털을 가진 여러 공룡의 화석이 중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하지만 이 친분과 신뢰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
지지
않았지요. 이에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얀 막심 엥겔만 박사팀은 침팬지의 친분 관계가 서로를 믿는 데 정말로 영향을 주는지 실험을 했답니다.닥터 그랜마 : 어떤 실험을 했는지 알려 줄래?침팬지 : 연구팀은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03
일부 영악한 바이러스들은 곳간이 무너지는 걸 환영한다. 아직 그 과정이 명확히 밝혀
지지
않았지만, 플라비바이러스는 세포의 자가소화작용 속에서도 멀쩡히 살아남을 뿐 아니라 숙주의 골지체나 소포체 등 구조물을 재조직해 자신의 단백질 생산 장소로 적극 활용한다. 자가소화작용을 일부러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