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01
바로 정광훈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이 주도한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
연구진
은 생쥐의 뇌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해 뇌의 구조 신경세포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많았다. 카페인을 첨가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한 ...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1
과하게 흔들리면서 떨어져 나갈 듯 아프다. 여성이라면 경험으로 안다. 실제로 영국
연구진
이 마라톤에 출전한 여성 참가자 1400명을 조사했는데, 세 명 중 한명이 유방 통증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유방의 크기와는 거의 상관이 없었다.유방에 이렇게 통증을 느낄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면, 유선 ... ...
숨어있던 115번이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115번 ‘우논펜튬’을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우논펜튬은 2004년 러시아와 미국 공동
연구진
이 입자 가속기를 돌려 찾아낸 원소 중 하나예요. 하지만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은 원자 수가 너무 적고 상태도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정식 원소로 인정하지 않았지요. 스웨덴 연구팀은 양성자 수가 20개인 ... ...
지구사랑탐사대 첫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지역별 현장교육을 다니고 있어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과
연구진
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찾아다니며 매미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대학교 수준의 깊이 있는 생태 교육은 덤이랍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맛보기!올 여름 매미탐사 현장교육에 함께 해 보고 싶은 친구들은 ... ...
MIN TALK9 금사빠
과학동아
l
201312
한다는 것입니다. 더욱이 이런 판단을 하는 데는 1000분의 1초도 걸리지 않았습니다.
연구진
은 실험 참가자에게 이성의 사진을 수 초간 보여주며 뇌의 반응을 살폈습니다. 그러자 전전두엽이 마음에 드는 이성을 봤을 때 많이 활성화됐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자신에게만 매력적인 이성의 얼굴을 봤을 ... ...
[수학뉴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수학원리응용센터 출범
수학동아
l
201312
이하 CAMP)를 출범시켰다.CAMP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석학들과 국내
연구진
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연구프로그램이다. 특히 열악한 연구 환경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해외 학술학회에 참가할 수 있는 경비를 지원하고,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12
항공우주국(NASA), 외계지적생명체탐사(SETI) 등 9개국 57명의 과학자로 구성된 국제공동
연구진
은 유성체를 다각도로 촬영한 영상, 당시 녹음된 저주파 데이터, 채취한 운석 시료를 바탕으로 당시 상황을 자세하게 재구성했다.250km 질주한 태양보다 밝은 유성체러시아 첼랴빈스크 주 현지시간 오전 9시 2 ... ...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
과학동아
l
201312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가 아닌 수렵과 채집으로 생활을 영위하던 때다.
연구진
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하면서 고기를 얻어먹다가 야생의 습성을 버리고 가축화됐을 것”이라며 “사람들도 늑대를 곁에 두고 다른 사나운 포식동물들의 공격을 대비했을 수 있다”고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311
안나 펠레그리노 교수가 미국공공 도서관학회지인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연구진
이 관찰한 것은 남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였다.이 딱정벌레는 암컷이 남긴 페로몬을 쫓아가 짝짓기를 하는데, 기압이 낮아지면 암컷을 잘 찾지 않는다. 실험에서도 이 사실은 분명히 드러났다. 수컷과 ... ...
머리카락,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과학동아
l
201311
만드는 특징이 있다. 흩어지더라도 털이 부족해지면 다시 뭉쳐 모낭세포를 만든다.
연구진
은 인간의 모유두 세포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고 쥐 피부에 인간의 모유두 세포를 이식했다. 그러자 쥐의 피부에서 인간의 모유두 세포는 다시 모여 모낭세포를 만들었다. DNA 검사 결과에서도 인간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