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보트
로봇트
robot
인조인간
기계 인간
자동 인형
총
뉴스
"
로봇
"(으)로 총 2,959건 검색되었습니다.
키스하는 얼굴 조각상이 화성 표면에?
2016.11.13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위 이미지는 미국항공우주국의 화성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것이다. 바닥의 돌을 자세히 보면 자연석이 아닌 것 같다. 지능과 예술혼을 가진 존재가 다듬은 것처럼 보인다. 보기에 따라서는 입술을 내밀고 키스를 하려는 존재의 얼굴 같다. 물론 ... ...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11.12
GIB 제공 미국 연구팀이 사지마비 환자를 다시 느끼게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중계의학’ 10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미국 피 ...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가운트 교수는 “자기 팔처럼 훨씬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느낄 수 있는
로봇
팔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어린이들은 왜 공룡을 좋아할까
2016.11.11
아이들은 공룡을 좋아합니다. 숫자 100까지 세는 것도 어려워하는 어린 아이라도 트리세라톱스니 벨로시랩터니 발음하기도 어려운 공룡 이름들을 줄줄 외웁니다. 공 ... [동아사이언스가 운영하는 시앙스닷컴 추천] ☞ 혼자서 움직이는 나무 공작! 공룡
로봇
만들기! 아이우디 (i-woody) ... ...
곤충
로봇
이용해 나방 날갯짓의 비밀 풀었다
2016.11.10
2배 가까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소용돌이가 안정적으로 생겨날수록
로봇
의 최대 비행속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장 교수는 “곤충의 비행속도는 보통 날갯짓 속도의 약 25%인데, 그 이유를 이번에 처음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곤충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 ...
하반신 마비 치료길 열린다… 뇌-척수 무선 연결 성공
2016.11.10
영장류에 적용해 성공한 사례는 없다.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뇌의 신호를
로봇
팔 등으로 전달한 실험은 있었지만 다리 쪽 척수로 연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신경을 실제로 살리지 않고도 기능을 회복한 것으로 놀라운 결과”라고 말했다. 척수신경에 손상을 입은 원숭이의 ... ...
수술 없이 암 치료하는 ‘나노
로봇
’ 등장
2016.11.01
몸 바깥으로 드러난 부위에만 적용할 수 있었다.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방법은 나노
로봇
기술은 이런 단점을 해결해 인체 내 부위 대부분에 발생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종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 ...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11.01
곳이 매우 많다. SF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몸속에 들어가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
로봇
을 비롯해, 지금보다 훨씬 작으면서도 더 용량이 큰 메모리칩을 만들 수도 있다. 분자기계에 대한 연구는 아 직 걸음마 단계다. 화학자들은 이제 겨우 에너지를 공급받아 원하는 방향으로 연속해 회전운동을 ... ...
해저 6000m 걷는 탐사
로봇
, 최종실험 현장 가보니
2016.11.01
‘크랩스터6000’. - 변지민 기자 제공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가 20일 부산 기장군 해양
로봇
센터의 깊이 9m의 대형 수조에서 크랩스터6000 잠수시험하는 모습. - 변지민 기자 제공 ... ...
변신하는 ‘실제 크기 자동차
로봇
’ 등장
2016.10.30
아직 알 수 없다.
로봇
과 자동차 그리고 SF 영화에 취미가 있는 이들이 문제의 자동차
로봇
에 큰 관심을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새로 생겨날 직업 많아 소프트웨어 교육 꼭 필요”
2016.10.26
자유를 주는 일이
로봇
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능하다는 걸 깨달았다”며 “많은 학생이
로봇
공학자가 돼 이런 행복감을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조 강연이 끝난 뒤엔 미국과 영국 등 소프트웨어 교육 선진국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바람직한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논의하는 패널 토론이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