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태양계를 떠돌다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에 의해 불타는 현상이에요. 이때 크기가 작은 유성체●는 불에 녹아 사라져요. 반면 크기가 큰 유성체는 지구 대기와의 마찰과 열을 견디고 지구 표면까지 도달하는데, 이게 바로 ‘운석’이랍니다. 운석을 다른 돌과 ... ...
- [보존과학] 과학 기술로 문화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무슨 내용이 적혀있는 건지 궁금해 한문학자께 여쭤봤어요. 그런데 내용을 해석해보니 이순신 장군의 아들과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쓰신 일기였더라고요. 슬픈 감정이 필체에 고스란히 담겨 있던 거죠. 전쟁 중 장군이 직접 기록한 유물을 보고 있으면 과거의 이순신 장군과 소통하는 느낌이 ... ...
- 새와 배에 감시의 ‘눈’을 달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위성들이 전 세계 불법조업을 감시하면 알바트로스는 일자리를 잃는 게 아니냐고? 모르시는 말씀. 위성도 잡아채지 못하는 게 분명히 있거든! ... ➌) 모든 경로에 카메라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낚싯줄을 내리는 곳(➍)에도 카메라를 설치해 멸종위기 조류를 쫓는 도구가 있는지도 감시한다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이 과정을 ‘핵융합’이라고 하지요. 예를 들어 태양에서는 수소핵 네 개가 융합해 헬륨핵으로 만들어지는 반응이 끊임없이 일어나요. 이때 수소 원자 하나당 내뿜는 에너지는 매우 작지만, 반응의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아 이들 모두가 만드는 태양에너지는 1억 5천만km 떨어진 지구의 식물도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3D 프린터로 태엽 시계 만드는 영상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해도 좋겠네요. 가장 적게 맞힌 사람이 가장 많이 맞힌 사람의 소원 들어주기 내기를 해 보는 건 어때요? ●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액체 조회수 : 166만 회 / 채널명 : NileRed (구독자 수 : 190만 명) (시간이 부족한 사람은 처음 2분만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영상은 자성을 가진 액체인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발표했지요.하지만 징마이 오코너의 연구팀처럼, 미얀마 호박 화석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들도 있어요. 호박은 연구 자료인 동시에 보석으로 쓰여서 지금도 많은 수집가가 과학자들보다 더 많은 돈을 내고 호박 화석을 사고 있거든요. 그러니 수집가의 손에 들어가 사라지기 전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물에 녹아 수소 이온(H+)을 내놓으면 산성, 반대로 수산기(OH-)를 내놓으면 염기성인데, 해당 성질을 띠는 용액에 지시약을 넣으면 용액의 색 변화로 산과 염기를 구분할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양배추 지시약을 넣었을 때 녹색으로 변하면 염기성, 붉은색으로 변하면 산성 용액이지요.지시약은 ... ...
- 흙탕물 위에 편의점이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한강이 수위가 높아졌는데도 침수 피해를 입지 않은 편의점이 연일 화제야. 사진을 찾아보니 편의점이 한강 위에 둥둥 떠 있는 거 있지. 비결이 뭘까? 배가 된 편의 ... 20개”라면서 “앞으로 남은 편의점이나 다른 시설물들도 부양식 건물로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7~8월, 탐험대학 학생들은 장마와 무더위도 잊고 열심히 탐험했어요. 로켓, 생태, 자율주행, 공룡, 인공위성, 게임, 키네틱아트까지 총 7개 분야별 ... 얼마나 힘들었을지 상상도 되지 않았죠. 로켓 팀 학생들은 다음 시간에 로켓을 직접 발사해 보기로 했어요. 과연 로켓 발사는 성공할까요 ... ...
- [이달의 과학사] 존 스노의 ‘감염지도’, 런던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낳았어요. 콜레라가 물을 통해 전염된다는 증거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감염지도를 통해 전염병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역학’이라는 새로운 의학 분야를 만들어냈거든요. 존 스노의 감염지도는 이후 전염병 연구의 기본이 되었답니다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