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d라이브러리
"
주제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기회를 갖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계기로 삼는다는 점에 주안점이 맞춰졌다.탐사
주제
를 양치식물로 한 까닭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한 것을 도외시하다보니 양치식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안돼 있다는 점을 안타깝게 여기는 지도교수의 뜻을 따른 것. 또한 짧은 기간에 많은 것을 탐사하려 욕심을 ... ...
국내 PC통신 물결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최근의 사회환경은 컴퓨터의 여러분야중 통신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컴퓨터 스페셜의
주제
는 PC통신이다. 우리 PC통신의 과거와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비교를 위해 미국의 온라인 서비스를 살펴보도록 한다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바람에 고생도 많았고 코스도 예정대로 이루어지지는 못했습니다. 또 탐사의 중심
주제
가 생소한 분야라 어려움도 있었을 듯합니다. 이 시점에서 이번 탐사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3일간 주로 관찰한 제주도의 양치식물에 대해,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이 경험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또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파리대학 역사학과 교수인 포이만과의 공동 연구에서 '역사는 되풀이한다'는 명제를
주제
로 다루었다. 이 두 사람은 여러나라 정치의 변혁과정을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동의 유형을 찾아냈다.1) 강력한 제국주의적인 정권이 있다.2) 혁명이 일어나 제국주의적인 정권이 무너지고 새로운 ... ...
2 멀티미디어 기술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있는 것이 바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다. 그리고 이 기술의 바탕에는 디지털 신호처리라는
주제
가 핏줄처럼 흐르고 있다.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얻는 것정보통신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안을 제정하는 정보통신 표준화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간적인 면을 세로축으로 하고 사용자 측면을 ... ...
"경제발전, 다양한 생물 보전서 비롯"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생물다양성 보전의 국내현황 및 국제적 동향과 생물다양성 협약 대처방안에 대한
주제
발표, '한국생물다양성 보전계획연구 프로젝트'가 수행한 한국의 생물다양성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이날 발표된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전략은 ▲생물다양성 보존을 국가 정책중 ... ...
애틀랜타 '94 봄 컴덱스 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극치 멀리미디어 신제품멀티미디어 열풍은 이번 전시회에서도 여전했다. 전시 내용을
주제
별로 나누어 볼 때 가장 많은 업체들이 참여한 분야도 바로 멀티미디어였다. 따라서 전시회 자체가 동영상과 그래픽, 사운드 등이 어우러진 멀티미디어 경연장이었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미국에서 ... ...
제7회 정보문화의 달 행사 개최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정보통신 관련기관과 단체 등 37개 기관이 참여해 1백7건의 행사를 개최하는 이번 행사의
주제
는 '정보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올해 행사는 예년의 이론이나 강연위주의 행사를 지양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 추진 과정을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직접 체험하도록 시연 행사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어느 정도일까. 심포지움에서 '소행성에 의한 인류절멸'이란
주제
로 발제를 한 일본 국립천문대의 이소베 슈즈 박사는 "3천만년만에 한번 정도는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 "이는 단지 확률일 뿐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우주망원경을 통한 경계를 게을리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City)로 빛나게 될 것이다." 1986년 10월호 미국의 저명한 시사 주간지 타임지의 과학기사
주제
선언들이었다. 인류가 빛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그 성질을 이용해 보려는 노력은 오래되었으나, 빛의 중요성이 폭발적인 관심을 받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이는 앨빈 토플러 박사가 말하는 바 2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