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위치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댈 겁니다.Q. 보조적인 역할이 아니라 동등한 위치라는 말씀은…?A. 다시 의학을 예로 들어볼게요. 미래에는 컴퓨터와 연동된 장비가 환자를 진단하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장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죠. 치료과정에서 얻는 정보를 축적해 다음번에는 더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국경선’을 지난 거예요. 하지만 면세점과 비행기 탑승게이트가 있는 지역은 공항이 위치한 나라의 법이 적용되는 공간이에요. 다시 말해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우리나라 법에 따라 처벌되지요.면세 쇼핑에 너무 열중해서 시계를 안 보면 큰일 나요. 탑승 시간을 계산해서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뒤가 되면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일 거래요. 그때가 되면 다른 별이 북극성처럼 보이는 위치가 변하지 않는데, 바로 ‘베가’라 불리는 직녀성이지요. 즉 1만 4000년 뒤에는 직녀성이 북극성 역할을 한다고 해요.천문대≠산, 편견을 깬 과학동아천문대!서울 용산의 과학동아천문대에 오면 도심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등 지구의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들어 있다네. 판의 뒷면에는 태양계의 위치나 구성 등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알리기 위한 그림도 있지. 그래, 이건 만에 하나 내가 외계생명체를 만나게 됐을 경우에 그들에게 전하는 ‘지구의 메시지’야. 물론 만날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워. ...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지리산 천왕봉으로 이어지는 684㎞ 구간이 있지요. 백두대간 생태지도는 남한에 위치한 백두대간을 10구간으로 나눠 각 구간의 대표 나무와 동식물을 알려 주고 있답니다. 이곳에는 산양, 삵, 하늘다람쥐 같은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이 가득하기 때문에 생태학자들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참, ...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빛인 ‘편광’이지요.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 과학자들이 실험실 수조에서 태양 위치가 바뀌는 상황을 만들고, 저희 플루마 포기가 편광을 어떻게 반사하는지 측정했어요. 그랬더니 반사 능력이 거울보다 80%나 높았답니다.바닷물에 햇빛이 비치면 편광 때문에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위치를 파악하고 꿀벌 사진도 찍을 거예요. 스마트폰으로 많은 사람이 꿀벌을 찾고 위치와 사진까지 기록 할 수 있거든요. 그러면 단순히 사라진 꿀벌을 찾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꿀벌이 좋아하는 밀원식물이 표시된 지도를 만들어 ‘도시양봉’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꿀벌을 증식시킬 수도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정보에 따라 얇은 층을 사람 발바닥부터 머리까지 한 층씩 쌓아 올려요. 물건에 따라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면서 조금씩 층을 쌓으며 인쇄한답니다. 또 필요한 만큼만 재료를 쓰지요. 잠깐! 3D펜은 3D프린터 중 하나허공에 낙서를 하면 그대로 선을 따라 모양이 만들어지는 펜을 보셨나요? ‘낙서하는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회전체가 응축하는 과정에서 태양계가 생겨났고, 태양계는 회전하는 성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는 가설인 성운설을 주장했다. 그리고 태양계의 안정성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이론인 포텐셜 함수와 라플라스 상수를 도입했다. 라플라스는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최초로 생각한 ... ...
- [수학뉴스]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교수는 이 실험에 참가한 아이들이 만 3.5세가 되었을 때 2차 실험을 수행했다. 크기와 위치가 다양한 검은 동그라미들이 있는 두 가지 화면을 보여 준 후, 어느 쪽이 더 많은지 알아맞히는 실험이었다. 이때 개수를 일일이 세지 않고 어림하여 알아맞히도록 했다. 그리고 IQ 테스트를 비롯해 아이가 셀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