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KIST) 강릉분원장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오상록 박사를 5월 4일 KIST 서울 본원에서 만났다.신경 신호로 기존 전자 의수와 차별화“인체의 신경과 직접 연결해 사람 손처럼 자유롭게 움직이는 바이오닉 암을 개발할 겁니다. 더 다양한 동작을 더 정교하게 구현하자는 거죠. 또, 전자 피부에서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어포일(비행기 날개의 유선형 단면)을 설계했다. 조금원 센터장은 “심사위원이었던 서울대․카이스트 교수들이 윤 씨의 연구를 전문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윤 씨는 “에디슨에 연동된 슈퍼컴퓨터로부터 계산자원을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어 굳이 좋은 성능의 컴퓨터를 갖추지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도 있죠.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시 산하의 서울연구원 등이 있습니다. 또한 한아도시연구소와 같은 민간연구기관도 있습니다.권영준 건설환경공학부에 잘 어울리는 학생은 어떤 학생일까요?권영상 주변에 애착이 많은 학생들이 잘 맞을 것 같습니다. 내가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한 것”이라고 말하며 타임라인을 보여줬다. ‘KORUS-AQ 네 번째 비행 오전 10:04:23 – 서울 상공의 가장 낮은 고도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기 성분의 복잡한 분포 구조가 포착됐다.’기내에 빼곡 찬 관측 장비좌석 대신 기내에 빼곡하게 들어선 관측 장비 대부분은 공기 중에 있는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배아가 자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최근 박재학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선박 도료에 포함된 주석 성분(Trimethyltin chloride)을 섭취한 제브라피쉬가 낳은 알을 관찰한 결과, 기형 개체가 많다는 것과 신경 발달이 억제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뇌세포 수를 늘리는 수술을 받는 도중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고, 인공 장기를 이식 받은 서울의 D군은 감염으로 사망했습니다. 지난 달 소비자보호원이 발표한 ‘취업로봇 수술 부작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30년 26건에 불과했던 사고 사례가 2035년 356건으로 5년 만에 무려 13.7배 증가했습니다.E박사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각각 태양 질량의 36배, 29배로 아주 무거우면서도 크기는 150km 정도였지요. 150km는 서울에서 강원도까지 거리와 비슷해요. 이렇게 무겁고 밀도가 큰 블랙홀 두 개는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거리도 점점 가까워졌어요. 중력파의 세기도 점점 커졌고, 그러다 결국 하나로 합쳐졌어요. 이때 방출된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봄비가 오는 날 서울 강남에 있는 한 카페에서 수학자 서재홍 교수를 만났다. 서 교수의 전공은 암호! 암호를 연구하는 교수라니, 간단한 비밀번호조차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방법으로 쓰고 있지는 않을까? 궁금하다면 서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교수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암호를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 건 2011년부터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 연구원(KCL), 옥시레킷벤키저가 의뢰한 서울대·호서대 등 여러 기관에서 여러 번에 걸쳐 진행됐다. 주된 실험은 살균제 물질을 세포에 노출시키는 세포 독성실험(실험실 조건)과 쥐에게 직접 살균제 물질을 흡입하게 하는 동물실험(생체 조건)이었다. 이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칩을 고정하는 수술은 지금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정흠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와 김성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눈 뒷부분을 2mm만 절개하고도 이식이 가능한 일체형의 작은 인공 망막을 개발했다.맥박을 측정하고 촉각을 느끼게 해주는 전자 피부도 피부와의 결합 문제가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