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시계에서
불
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시간을 더욱 정확하게 사용하려는 인류의 끊임없는 요구는 물시계, 모래시계를 비롯하여
불
시계의 발명과 사용으로 발전해 왔다. 각 시대 각 나라마다 전통과 생산력 발전의 정도에 따라 시계의 내용과 형태는 달랐지만, 항상 '일보의 전진'은 이전의 발견을 토양으로 한 것이었다.전(前) 근대사회의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섬이 되었다. 오랜동안 문명과 동떨어져 있은 결과 섬 전체가 '생물학교실'이라고
불
려질만큼 생태학상의 귀중한 보고가 되었다. 안타까운 파괴 어떤것은 원시시대의 그대로 전혀 변하지않은 살아있는 화석으로 생존을 계속하였고 또 어떤것은 현재 다른지역에서는 관찰되지않는 대단히 독특한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작년 가을의 대규모 조사의 잠정결과가 몬트리올회의 직후에야 발표된데 대해
불
만을 토로한다. 보다 엄격한 규제안을 채택할 기회를 놓쳤다는 것. 그밖에도 전자회사에서 새로 이용하는 CFC113과 군사무기 등에 널리 쓰이는 할론 등의 생산실태가 비밀로 되어 있음이 협약의 실효성과 관련해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처음엔 우크라이나 상공을 떠돌다가 북쪽 스칸디나비아로 이동했다. 1주일뒤에는 이
불
길한 방사능장막이 동부유럽을 지나 지중해연안에까지 번졌다(그림참조). 지금까지의 모든 핵실험에 의한 것보다 많은 양의 죽음의 재 체르노빌 사고로 지구상에 뿌려진 방사성 물질의 양은 수억퀴리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만큼 철이 들어감을 인식하고 있다. 수학에서 출발한 나의 지적 모험은, 세월과 더
불
어 새로운 지적대상을 추구하면서 나날이 삶을 보람있고 알차게 엮어줄 것으로 믿고 있다. 인간의 탐구로 시작된 나의 수학은 이제 나의 존재를 묻는 자리에까지 돌아온 것 같다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정해 보자. 물론 거대한 수소가스사고도 있을 수 있는 재난이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불
행은 특정한 지역에만 국한될 뿐이다. 즉 하나의 대륙을 오염시키거나 수세대에 걸쳐 감염되는 그런 무시무시한 제2의 체르노빌사고와 같은 종류의 재난이 아니다. "이제는 정말 솔선해서 수소를 사용하지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섬으로 알려진 발리섬에는 어느 곳에서나 크고 작은 사원을 볼 수 있는데 그곳의 검은 석
불
(石佛)의 귀에는 빨간 무궁화 한송이가 꽂혀 있어 인상적이다. 또 정열적으로 춤을 추는 여인들의 머리에 꽂힌 열대의 꽃들은 잊을 수 없는 강한 열대의 정취를 더해 준다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풀어 떠내는 형식. 장망식이 얇고 평활한 종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반면에 환망식은 울퉁
불
퉁한 두꺼운 종이, 즉 판지류를 만들 수 있다. 물론 두가지 방식이 실제로 활용되어 종이를 대량생산한 것은 1850년대 이후이다. 이 두가지 방식이 결합되어, 앞뒤면이 구분되지 않아 양면인쇄가 가능한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호모사피엔스이다. 지질학적 시간으로 계산하자면, 우리 인간은 '어제'부터 존재한것에
불
과하다. Last month it was announced that new monster of the past had been discovered. A skull and other bones of a sea bird, distantly related to mo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뜨거운 우주가 식어가면서 천체와 생명체를 출현시키는데 따라 나타난 질량분포의
불
균등성은 이제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문제에 대해 김교수는 하나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하고 있다. "뉴트리노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 1조개가 모인 우리 은하와 같은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