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중이지만 곧 출시할 예정이에요. Q한국에서도 사투리가 조금씩 사라지고 있어요. 이런
문제
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다켈 부족 언어에도 사투리가 있어요. 나카즈들리 다켈 부족과 레들리 다켈 부족이 쓰는 언어가 조금 다르죠. 하지만 이런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키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 ...
[과학뉴스] 응답하라, 착륙선 비크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떨어졌어. 착륙선과 통신이 두절된 원인은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앙 엔진에
문제
가 생겨 교신이 끊긴 것으로 추정돼. 연구팀은 비크람과 통신이 끊긴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각종 자료를 분석 중이야. 그리고 교신이 끊긴 비크람을 찾아 다시 교신하려고 노력 중이야. 비크람을 찾았다고 ... ...
[실전! 반려동물] 거북의 등딱지가 파였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등딱지에 척추가 붙어 있어 피라미딩이 심해질 경우 걷는 데
문제
가 생길 수 있답니다. 피라미딩은 집안에 사는 육지거북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자외선을 쬐어 주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은 거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육장에 자외선등을 ... ...
교사 유튜버의 게임 활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코끼리 서식지를 침범하는 상황에서 빚어지는 갈등을 해결하는
문제
지요. 선생님이 먼저
문제
를 겪는 가상 마을을 마인크래프트로 구현했어요. 학생들은 선생님이 만든 마을에서 아파트를 짓거나 울타리를 치며 주거지 확장을 막기 위한 방법을 보여줬지요.마인크래프트로 과학 수업만 하는 건 ... ...
[과학뉴스]나비의 날개처럼 유연한 인공 근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어려움이 있었지요.이에 지난 8월 22일, 카이스트 오일권 교수팀은 이온성 인공 근육의
문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세대 나노물질인 ‘맥신’을 전극에 적용해 부드럽게 움직이는 소프트로봇용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인공 근육을 이용해 나비의 부드러운 날갯짓을 구현한 ... ...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화학적 방제’에 비해 방제 속도는 더디지만, 생태계가 파괴되거나 살충제 내성
문제
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적으로는 좋은 방법”이라고 밝혔어요. _INTERVIEW김왕규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도시에 잔물땡땡이를 풀어주었어요!” Q 모기를 잡는 천적 곤충은 어떻게 고르셨나요?모기의 ... ...
비자림로에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훼손을 최소화하겠다고 발표했고 지난 3월, 공사를 다시 이어나갔답니다. 그런데
문제
가 또 발생했어요. 지난 5월 25일, 공사 구역에서 멸종위기종 2급이자 천연기념물인 팔색조의 울음소리가 들렸거든요. 추가로 멸종위기종 2급 애기뿔소똥구리까지 발견돼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보고서가 엉터리로 ... ...
집안 해충 잘 죽지도 않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위생 해충인 바퀴벌레는 쓰레기나 배설물 속 병균을 음식 등에 옮겨 병을 일으키죠.더 큰
문제
는 최근 해충들이 잘 죽지도 않는다는 거예요. 살충제에 내성을 가지도록 진화하고 있거든요. 최근 미국 퍼듀대학교 곤충학과의 마이클 샤프 교수 연구팀은 6개월 동안 바퀴벌레를 없애는 실험을 했어요.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환경 보존 VS 개발’은 누구의 주장이 옳다 그르다를 따지기 어려운 사회적
문제
예요. 하지만 함께 신중히 논의하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시끌벅적 토론터’에서 여러분의 생각을 모아보세요 ... ...
[쇼킹사이언스] UFO의 침공?! 로켓이 만든 인공 구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흐름을 관측해 왔어요. 하지만 워낙 높이가 높다 보니 관측값이 정확하지 않은 것이
문제
로 꼽혔죠.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로라가 자주 나타나는 북유럽 지역에서 탐사 로켓을 쏘아 지구 상층 대기의 입자 흐름을 알아내는 실험을 도입했답니다. 아주르도 이런 탐사 로켓 프로젝트 중 하나지요.NASA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