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원의 정의 자원이란 인간에게 유용하고 가치가 있으면서 기술적·경제적으로 개발이 가능한 모든 것을 말한다. 좁은 의미의 자원에는 천연자원만 포함되지만, 넓은 의미의 자원에는 천연자원뿐만 아니라 인적 자원, 문화적 자원까지 포함된다. 대부분의 천연자원은 매장량이 한정돼 있어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리 : 너희들은 누구니?장내미생물 : 우리는 장내미생물이야! 너의 뱃속에 살고 있지. 보이지 않겠지만 사람을 둘러싼 주위 환경에는 사실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어. 사람의 몸속에도 100조 개 이상의 미생물이 있는데, 그중 97% 이상은 장에 살고 있단다.예전에 과학자들은 장내미생물이 음식물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제 마지막 작업만이 남았어. 세상 밖으로 나온 뒤 완전히 건조시키고 다친 부위를 고쳐서 뼈를 맞추는 거지. 그럼 뼈만으로도 나의 원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거야. 참고래는 지금 건조 중!6시간에 걸쳐 세상 밖으로 나온 골격은 아직 흙과 살 조직이 남아 있는 상태예요. 연구원들은 뼈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 5월 22일이 무슨 날인지 알고 있나요? 바로 유엔(UN)에서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International Day for Biological Diversity)’이에요. 마침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몸소 배워온 친구들이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 [기사 1]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튜링의 연구는 생물학과 수학 두 분야의 학자들을 모두 매혹시켰고, 수리생물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김재경 카이스트 수리과학과 교수는 튜링의 연구에 대해 이렇게 한 마디로 말했습니다.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 한국 수리생물학회 회장 김용국 -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upid and Psyche: The Second Kiss_ 큐피드와 프시케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작가 존티 허위츠의 ‘큐피드와 프시케’는 전체 길이가 약 15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다. 작가는 이 작품을 1cm 정도인 개미 이마에 올려 촬영했다(오른쪽 박스). 이 작품은 18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작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8년 하반기 스마트폰 트렌드는 단연 ‘카메라’다. 후면에 카메라 2개가 달리는 듀얼 카메라를 넘어 트리플(3개), 쿼드(4개), 펜타(5개) 카메라까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숫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전쟁’은 올해 3월 화웨이가 포문을 열었다. 화웨이는 후면에 카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아놀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와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를 연구한 조지 스미스 미국 미주리대 교수, 치료용 항체 개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2018년 9월 24일, 1966년 필즈상 수상자인 마이클 아티야 교수가 수학계 최고 난제인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SNS에는 리만 가설이 풀렸으니 마침내 소수의 비밀이 풀렸고 심지어 인터넷 거래를 할 때 쓰는 암호 체계가 무너질 거라는 소문이 퍼졌습니다. 과연 사실일까요? 리만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1] 세계 인구와 인구 문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세계의 인구 성장 1850년 세계 인구는 약 12억 명에 불과했으나, 2018년 기준 약 75억 명으로 7배가량 증가했다. 세계 인구는 2070년 약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인구가 이렇게 급격히 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먼저 의학 기술이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사망률이 감소하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