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9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이 발생했다.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문화재를 지키고 있다가 왜군에게 포위된 오렌지동이. 다행히도 위기의 상황이 닥치면 이순 ... 대한 공부를 하고 있지요. 오늘도 용동어린이들은 슬기롭고·바르고·튼튼하게라는 교훈
아래
미래의 주인공으로 자라나고 있답니다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9
수학자들의 노력이 이어졌고 2002년 도쿄대학교에서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소수점
아래
1조 2400억 자리까지 계산해 냈어. 정말 대단하지?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는 전 생애를 π값 구하는 데 바쳤다고 하니 우리 친구들도 π값을 구하는 데 도전해 보는 것이 어떨까?3. 망원경으로 우주의 신비를 ... ...
세종대왕릉의 비밀 통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9
새겨진 거대한 방이었다. 말을 이어 다음 통로로 이동해야 하며, 만약 잘못 밟으면 방
아래
의 구덩이로 빠져 버리게 되어 있었다. 어떤 말이 이어져 있을까? 썰렁 홈즈와 함께 비밀 통로를 따라가 보자. mission2세종대왕의 이상한 초상화방을 지나온 썰렁 홈즈와 고고학자들은 깜짝 놀라 입을 다물 수 ... ...
쓰러진 트로이목마를 일으켜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못하기 때문에 좌우로 작용하는 힘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4. 그러면 무게중심을
아래
로 낮추고 좌우로 균형을 맞추어 주면 연필도 세울 수 있지 않을까? 오뚝이가 똑바로 서서 쓰러지지 않는 이유도 같은 원리다.쓰러지지 않는 오뚝이를 만들어라!트로이목마가 쓰러지지 않고 계속 서 있게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조절해 주면 된다. 또 부력탱크 안에 남아 있는 공기를 더 빼내고 물을 채우면 잠수함은
아래
로 가라앉는다. 부력탱크에 물이 채워지면서 밀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다시 물위로 떠오르려면 부력탱크의 물을 펌프로 퍼내고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면 된다.빙산의 일각?!보기만 해도 엄청나게 무거워 ... ...
한 여름에 눈 내리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 빨리 겨울이 왔으면 좋겠다’뜨거운 햇살
아래
서 축구를 하고 돌아온 건우가 땀을 흘리며 중얼거렸어요. 그 때였어요. ‘어린이과학동아’가 갑자기 빛나기 시작한 거예요.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나오는 빛은 점점 강해지더니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강해졌어요. 얼마가 지났을까…, 건우가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교수님을 만나 보자.태풍을 주무르는 손은 바로 나!우리나라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
아래
에 있으면 저기압인 태풍은 중국으로 빠져 나가요. 반대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하거나 일본 쪽에 치우쳐 있다면 태풍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확률이 커지겠죠. 이처럼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배치를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5
흘러 석굴암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지하수로 차가워진 암반은
아래
쪽에만 이슬이 맺히고 위쪽에는 항상 4~10℃를 유지하여 습기가 차지 않도록 했습니다.하지만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석굴암을 보수하던 중 지하수의 물줄기를 바깥쪽으로 돌려놓는 바람에 오히려 그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자동차는 꼼짝도 할 수 없다. 엔진은 휘발유와 공기 혼합물의 연소를 통해 피스톤을 위
아래
로 움직여 동력을 만들어 낸다. 이 과정은 4행정 사이클을 거쳐 작동한다. 4행정 사이클은 ‘흡입 행정-압축 행정-동력 행정-배기 행정’의 네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엔진에서 만들어진 동력은 기어박스를 ... ...
구름,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서로 모여서 안개처럼 흘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왜 그럴까?뜨거운 물이 담긴 병의
아래
쪽 공기는 온도가 높아 위로 올라가게 되고 병의 입구에 도착하게 되면 찬 얼음 때문에 온도가 내려간다. 곧 공기는 포화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남는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이 때 생긴 작은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