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뉴스
"
기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생물자원관 중장기 계획안 수립…생물주권·탄소중립 초점
연합뉴스
l
2021.01.04
제1차 기본계획(2021∼2025년) 마련…생물종 발굴하고 생물자원 활용 신산업 연구 국립생물자원관[연합뉴스 자료사진] 환경부는 국내 생물자원관의 중장기 추 ... 바탕으로 생물 주권을 공고히 하고, 다양한 활용연구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
최기영 장관 “새해 치료제와 백신 개발 끝까지 지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조성해 나가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민 모두가 잘 사는 ‘포용’ 사회 구축에도
기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를 대비하여 취약계층의 통신비 부담 경감 및 디지털 접근성을 강화하면서 전 국민의 디지털 역량도 제고해 나가겠습니다.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 ...
파스퇴르연구소 소장에 지영미 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파스퇴르연구소 국제 네트워크 기반 글로벌 연구협력을 강화해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기여
하고 향후 아시아 및 글로벌 감염병 연구네트워크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과학자의 이름이 쓰였다. 하지만 네이처의 영웅주의는 코로나19와의 승리에 진정으로
기여
한 무명의 과학자들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다. 하지만 카탈린 카리코와 우구르 사힌의 이야기는, 과학계가 승리자의 역사 뿐 아니라, 소외된 과학자와 그들의 처지에 왜 좀 더 신경을 써야 하는지 보여주는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아니라 일반적인 노화 과정의 분자생물학적인 이해를 위한 기반 지식 확립에도 큰
기여
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경배과학재단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사업,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이달 23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장에 황진영 항우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실증 연구, 연구개발 및 품질 인증, 항공기 기술정보 체계화, 항공우주정책 개발 등에
기여
하기 위해 2006년 설립됐다. 현재 약 13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보라매병원-전문건설협회 후원금 전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뇌전증 연구과제를 통해 뇌파를 자동으로 정량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기여
한 공을 인정받았다. ■아벨리노가 미국 내 코로나19 진단검사 100만건을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아벨리노는 유전자 진단 및 치료제 연구개발 기업으로 지난 3월 한국계 기업 최초로 코로나19 유전자 진단기술을 ... ...
[과학게시판] KBSI ‘사랑의 연탄 나눔’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강재열 한국원자력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바라카 원전 시운전 정비계약 체결 등에
기여
한 공로로 과학기술훈장(웅비장)을 수상하는 등 총 15명이 정부포상자로 선정됐다. ... ...
"정부 R&D는 20% 불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마치 기초연구처럼 한다”며 “산발적인 과제들이 연구 보고서만 내면 끝이고 얼마나
기여
했느냐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염 부의장은 “공공 목적을 뚜렷이 갖는 R&D는 논문과 특허 외에도 별도의 트랙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부의장은 공공 R&D의 예로 감염병 연구를 ... ...
"정부 R&D는 20%밖에 안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마치 기초연구처럼 한다”며 “산발적인 과제들이 연구 보고서만 내면 끝이고 얼마나
기여
했느냐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염 부의장은 “공공 목적을 뚜렷이 갖는 R&D는 논문과 특허 외에도 별도의 트랙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부의장은 공공 R&D의 예로 감염병 연구를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