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어린이과학동아
"
순간
"(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8
인류는 12월 31일 오후 2시 29분쯤 탄생했지요.지구는 많이 늙었는데 사람은 너무 어리다는뜻입니다. 그렇다면 지구 탄생부터 지금 이
순간
까지 지구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요? 이러한 질문에 대답을 해 주는 곳이 바로 자연사박물관이에요. 커다란 동물의 뼈와 깨진조개 껍데기, 언뜻 보면 강가에서 주워왔을 것같은 평범한 돌멩이, 낯선 생물의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컴퓨터 심판을 보내주지 않았다. 몇 달간 비가 오지 않은 덕을 이렇게 보는 수도 있구나 싶었다. 센터를 나서는
순간
준호의 왼쪽 다리에서 소음이 났다. “준호야, 다리?” “아까 슬라이딩하다가 다쳤어. 아무래도 수리해야 할 것 같아. 좀 아프다.” 왼쪽 다리를 쓱쓱 비비면서 준호가 말했다. 준호는 어렸을 때 사고를 당해 왼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먹고 사람은 다시 건강한 똥을 눴다. 자연스럽게 순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따끈한 똥이 항문에서 떨어지는 그 짧은
순간
우리는 똥과 영원히 이별한다. 똥은 차가운 물에 풍덩 빠져 거센 물길에 휩쓸리고 길고 긴 배수관을 통과한다. 정화조에 모여 신세타령을 하고 있을 때쯤 푸른빛의 똥차가 똥을 단체로 수거해 간다. 이제 가는 곳은 배수 ...
똥의 향기에 취하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나의 똥 관찰기 건강하게 살려면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똥이 일등 똥일까? 변기 속에서 꼬물꼬물 수줍게 웃고 있는 똥을 관찰하여 내 똥은 어떤 모양에 속하는지 알아 보자. 제 1단계_가장 잘 생긴 똥은 누굴까? 제 2단계_똥의 색깔로 건 ... 알았다면 이제부터 최고급 똥을 누기 위해 조금만 더 노력하자.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얼굴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bIMG_r12}1903년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세계 최초로 비행기를 발명해 비행에 성공합니다. 하늘을 날고 싶다는 인류의 꿈이 이루어진
순간
이었지요. 하지만 라이트 형제의 이 기술은 곧바로 미 국방부에서 전투기를 만드는 데 쓰입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전투기 개발에 뛰어들었고 비행기 제조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합니다. 다이너마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달라. 박테리아가 황을 분해하여 탄수화물을 만들고 관벌레 같은 다른 생물들은 이걸 먹고 살거든. 바다 괴물과 만난 아찔한
순간
들 생물은 바다에서 태어났어. 현재 바다에는 1만 7000여 종의 식물과 15만 2000여 종의 동물이 살고 있지. 하지만 바다 깊이 내려가면 햇빛이 들어오지 못해 식물이 광합성을 할수 없잖아. 또 무겁게 짓누르는 압력과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평소보다 두 배 가량 순발력이 높아진다. 컴퓨터로 치면 중앙처리장치인 대뇌피질의 명령에 몸이 반응하는 것이다. 득점에 성공하는
순간
아드레날린 분비는 최고조에 이른다. 열광적인 함성은 심판을 기죽게 한다? 독일월드컵을 위해 힘겨운 지역예선을 거친 이들은 비단 32개국의 대표팀만은 아니다. 검정색 옷을 입고 호루라기를 불며 경기장을 누비는 심판들 ...
2006 동물 월드컵(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맙니다. 불곰 선수도 따라 붙었지만 패스의 흐름을 끊는데는 실패! 이 때 스컹크 선수의 방귀에 상대방 선수가 코를 틀어막는
순간
공을 빼앗습니다. 치타에게 패스. 치타 선수 그대로 110㎞의 속도로 드리블, 멋지게 슛! 골인입니다. 이렇게 3:0으로 동물 선수들의 승리~!어때요? 정말 웃기면서도 재미있는 경기였죠? 2006 독일 월드컵에서도 우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핵융합반응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데, 고갈될 염려도 없고 환경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 사실 태양은 지구 탄생
순간
부터 지금까지 거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었다. 태양 에너지가 없었다면 식물이나 동물은 아예 출현조차 하지 못했을 테고, 그 사체가 썩어 만들어진 화석 에너지(석유, 석탄)도 없었을 것이다. 또한 기상 현상도 발생하지 ...
태양과 계절의 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13
같다는 춘분입니다. 그럼 12시 반은 무슨 시각일까요? 바로 태양이 남중-태양이 정확히 남쪽하늘에 있는-하는 시각입니다. 그럼 이
순간
, 무슨 특별한 일이 일어날까요? 이 때 태양의 고도만 측정하면 내가 서 있는 곳의 위도를 알 수 있답니다! 엄청나게 큰 지구 위 어디쯤 내가 서 있는지 알기란 참으로 힘든 일이겠지요. 우주선을 타고 지구 밖으로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