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현상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는 논문 두 편이 나란히 실렸는데 둘의 입장
차이
가 너무 커서 어리둥절할 정도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퇴네 박사가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서울대 임명신 교수팀도 포함됨)은 덜 파격적인 해석을 내놓았다.즉 중성자별이 거성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관여하는 유전자가 있으며, 이 유전자의
차이
에 따라 개인별 지방 섭취량이 달라져 비만
차이
를 낳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연구저널’ 2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이 기본적으로 지방의 맛을 좋아한다고 가정했다. 열량이 풍부한 지방을 좋아하게끔 진화했기 때문이다. 만약 지방의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했지만 서울 지역 평균 기온의 기울기, 즉 변화 폭이 더 크다. 그림과 표의 기울기를 보면
차이
를 느낄 수 있다.지난해 6월 대한지리학회지에는 이와 관련된 논문이 하나 실렸다. 이승호 건국대 교수와 허인혜 교수는 대한지리학회지 144호에 ‘한국의 도시화에 의한 극한기온의 변화’라는 논문을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얇아지기 시작한다.따라서 청소년은 감각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능력은 성인과
차이
가 없지만 주의를 집중하거나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는 능력은 떨어진다. 이 결과 청소년들은 몸은 커졌지만 정신은 아직 통제력이 약해 정서가 불안하고 뜻밖의 사고를 치기도 한다. 청소년기 사망률이 몸이 ... ...
도전하는 예비 포스테키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최소한의 학업능력 및 특별한 재능을 알아봤습니다.” 수시일반전형과 창의IT인재전형의
차이
점을 설명해 주세요. “두 전형 모두 이공계 글로벌 리더를 꿈꾸는 학생을 선발하지만, 일반전형에서는 보다 학문적인 부분을, 창의IT인재전형에서는 기업가 정신 및 창의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개별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 사용한다.측광인물의 측면을 밝게 하고 입체감을 표현한다. 밝고 어두운 부분의
차이
를 크게 낼 수 있어 강렬한 인상을 만들 수 있다.순광인물의 정면에서 들어오는 빛으로, 밝기 조절이 쉽지만 입체감을 표현하기가 어렵다언더라이트인물의 턱 아래에서 내는 빛으로 파란색 필터와 함께 무서운 ... ...
남녀평등이 수학 성적 가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수학점수와 성격
차이
지수 둘 다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즉 수학성적의 남녀
차이
는 문화나 경제 수준 등 그 사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남녀불평등이 심각한 이슬람국가에서는 남학생들의 수학성적이 여학생들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슬람국가 중에서도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탄력도 좋아지고 말야.끓는점과 함께 중요한 건 라면을 끓이는 시간이야. 아주 미묘한
차이
로 면발의 쫄깃함이 결정되거든. 쫄깃한 면발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4분이 조금 안 되게, 푹 익은 면발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4분 정도를 끓이면 알맞아. 우리 가게와 같은 라면 전문점은 일반 가정집보다 ... ...
수학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 우표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첫 번째 우표가 바로, 2011년 화제가 됐던 ‘뽀로로 우표’입니다. 혹시 일반우표와
차이
점을 발견하셨나요? 잘 모르시겠다면 우리 남매를 닮은 2012년 연하우표와 비교해 보세요.일반우표는 여러 개의 우표가 한 장에 인쇄돼요. 우표가 여러 개 한꺼번에 인쇄된 종이에는 우표를 하나씩 잘라내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이 소식이 나왔고 방송에서도 한두 시간이 지나서야 홍수 상황을 전했다.이 같은 속도의
차이
가 발생한 이유는 뉴스가 전달되는 과정이 줄었기 때문이다. 보통 사건이 일어나면 뉴스는 언론을 거쳐 독자와 시청자에게 전달(아래 ❶)된다. 하지만 SNS를 이용하면 새로운 소식을 만든 사람이 직접 거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