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특허청 업무와 기적의 해 1905년의 논문들이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아인슈타인이
주로
심사했던 특허출원이 바로 시간 동기화였다는 사실은 아인슈타인의 특허 업무와 논문이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 철도의 중심이었던 베른에서 모든 지역의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은 그 무엇보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대뇌피질로 연결돼 도파민을 이용해 신호를 전달한다. 그런데 대뇌피질 중에서도
주로
전두엽과 연결이 돼 있다. 따라서 도파민의 저하는 곧 전두엽 기능의 저하로 나타난다. 대표적인 도파민성 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의 뇌를 봐도 전두엽 기능이 저하돼 있다.그렇다면 부위별 노화의 차이가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포가 모여 어떤 형태를 이루려면 서로 붙어 있어야 한다.식물 세포의 경우 세포 사이가
주로
펙틴으로 이뤄진 부착 네트워크로 이어져 있다. 펙틴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 오스로 이뤄진 복합세포벽 다당류다. 결국 낙엽은 잎과 줄기 사이 세포들의 상호 결합력이 떨어져 줄기가 잎의 무게(또는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대량으로 만들고 있다. 50원짜리 동전만 한 피부 조직을 한 달에 약 5000개씩 생산한다.
주로
하얀 반투명으로 만들지만 색을 섞으면 좀 더 피부에 가깝게 된다. 현재는 의료나 화장품 분야에서 동물 실험 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 가격이 비싸 사람의 몸에 이식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역추적할 수 있다. 칸 교수 이전에도 인류학에서 이 방법을 시도한 학자가 있었지만,
주로
세포핵 유전자를 썼기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세포핵 유전자는 배우자의 유전자와 서로 섞이기 때문에 유전자 재조합 현상이 자주 일어났고, 어떤 변이가 얼마나 일어났는지 연구하기가 대단히 까다로웠다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인간강좌’ 라는 프로그램 원고를 기초로 출간한 책이다. 수학자 9명의 고향과
주로
활동했던 장소를 방문해 수학자들의 삶을 뒤따라갔다. 천재라고 불린 이들의 인간성을 되새길 수 있다. 또한 제목에서처럼 영광스런 업적뿐 아니라 천재 수학자들이 겪은 좌절과 고독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집인원의 2배수를 뽑기 때문에 결국 승부처는 면접이다.2단계 전형 중 면접에서는
주로
어떤 질문을 많이 하는가?학습계획서와 교사추천서, 학교생활기록부 내용을 확인한다. 생물에 관심 있다고 썼는데 물리를 묻지는 않는다. 서류에 있는 걸 묻는다. 영어로 질문하지도 않는다. 영어가 강점인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여러 색의 빛으로 나눠진다. 엥겔만은 실험을 통해 빨강과 보라-파란색의 빛이 광합성에
주로
쓰인다는 것을 보여줬다.의 결과를 분석하면 빛의 650nm와 400nm 부근의 파장을 이용하는 엽록소a와 450nm 부근의 파장을 이용하는 엽록소b가 식물의 광합성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유전자의 관계에 관심이 많다. 백 교수가 유전자 발현을 다룬다면 김 교수는 동물모델을
주로
연구한다. 두 사람이 지금까지 함께 발표한 논문만 30여 편에 달한다. 백 교수는 특히 2005년 암 전이를 억제하는 유전자를 밝혀내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실었으며 2009년에는 젊은과학자상을 받았다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 보통 같으면 제1저자(
주로
실험을 한 사람)에 스탠리 밀러, 교신저자(실험의 책임자로
주로
지도교수)로 헤럴드 유리의 이름이 올랐을 것이다. 아마도 유리 교수가 명예욕이 없는 사람이거나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때문이 아닐까.밀러는 훗날 자신이 유리 교수의 학생이 아니었으면 이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