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른다. 세심한 관찰자인 파브르는 그가 관찰한 곤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
하길 원했다. 모든 것을 원인과 결과로 설명하려는 진화론과 지독한 과학의 잣대를 배제한 채 말이다.곤충이 생동하는 봄을 맞아 파브르 곤충기를 제대로 읽어보는 건 어떨까. 잠시 멀어졌던 자연과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인정돼 지난해 저널 ‘유전자, 뇌, 행동’에 논문이 실렸다.PLCβ1은 지질을 분해해 신호
전달
물질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효소 단백질이다. 신 박사는 “PLCβ1이 결여된 생쥐가 간질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1997년 ‘네이처’에 보고한바 있다”며 “이단백질은 10년 만에 정신분열증에도 관여한다는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캘거리대 연구팀이 국제저널 ‘동물행동’ 1월호에 발표했다. 색맹 원숭이는 뇌로
전달
되는 색 정보가 적어 형태나 윤곽을 더 잘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색맹이라는 ‘특수한’ 눈으로 보면 숨어있는 곤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마치 영화의 주인공이 ‘돌멩이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박사후연구원 시절 NMR을 뒤로 하고 X선 결정학에 뛰어들었다. 그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달
RNA(tRNA)의 구조를 밝혀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김성호 교수다.파장이 짧은 X선을 이용하면 NMR로 보기 어려운 큰 단백질의 구조를 밝힐 수 있다. 또한 X선을 이용하면 단백질의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 “양성자가 또 하나의 새로운 신경
전달
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신경
전달
물질이 신경세포에서 근육세포로 배출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뤄지는 유전자와 단백질 사이의 작용을 조절하는 수준을 넘어 세포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
하는 유전자회로를 만드는 수준에 이르렀다.미생물은 시간에 따라 세포의 항상성을 스스로 조절하는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주변에 같은 종류의 미생물이 있는지 알아내 서로 증식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좀비를 만드는 건 공상영화에서나 볼 법한 일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가능하다면? 이스라엘 벤규리온대 생명과학자 프레데릭 ... 옥토파민이 차단돼 좀비 상태가 되는 것. 옥토파민은 걷기 같은 행동을 하는 데 관여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알려져 있다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휴대전화로 보낸 문자메시지나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을 웹사이트나 이메일로
전달
해주는 서비스 휴대전화 번호를 주소로 하는 무선망과 IP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IP주소를 가상의 휴대전화 번호로 바꾸고, 이 번호를 휴대전화의 무선망과 연결해주는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씨가 해안에서 바가지로 퍼담은 기름은 양동이에 모인 뒤 자원봉사자들의 손에서 손으로
전달
됐다. ‘저렇게 느린 속도로 언제 기름을 모두 걷어낼까’라는 생각은 섣부른 착각이었다. 한 바가지의 기름이 거대한 ‘인간띠’를 거치며 한곳에 모이자 금세 수 톤에 이르렀다.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TRPV1이 열리지 않게 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TRPV1은 염증이 생겼을 때 통증을
전달
하는 신경세포에 많이 분포한다. 오우택 교수팀은 염증이 생기면 신경세포 안에서 HPETE라는 생체분자가 만들어져 TRPV1에 달라붙어 채널을 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캅사이신은 HPETE와 입체구조가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