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985년에 계획을 시작해서 1994년에 첫 관측을 하게 됐으니까 완성하는 데 10년이 걸린
셈
이지요. 이 망원경은 우주에서 오는 빛을 아래쪽에 있는 오목거울에서 반사해 위쪽에 있는 거울로 한데 모은 다음, 다시 오목거울 가운데 뚫린 구멍으로 보내서 관찰하는 방식이에요. 우주에 있는 별의 무리인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특별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됐다. 그 당시로선 최고의 기술이었던
셈
이다.우리나라는 자물쇠를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우리는 삼국시대부터 자물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 남짓한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 자물쇠와 열쇠는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다.그런데 안타깝게도 현재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향하는 정도를 하루 단위로 나타낸 것을 ‘월령’이라고 해. 삭일 때는 월령이 0일인
셈
이지.올해 음력 8월의 삭은 양력으로 9월 8일 19시 30분일 때야. 음력에서는 삭이 되는 날을 1일로 삼기 때문에 9월 8일이 음력으로 8월 1일이 돼. 그런데 달이 삭에서 다음 삭이 되려면 정확히 29.53일이 걸려. 특히 ... ...
대박을 부르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월평균 사용요금이 2만 6725원이래.내가 남들처럼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용돈이 거덜 나는
셈
이지. 사실 휴대전화가 있으면 불편해. 책을 읽고 있을 때 자꾸 전화나 문자가 오면 신경쓰이거든.그런데 내가 휴대전화를 안 쓰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내 생활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야. ... ...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를 덮고도 남는 태풍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빠르기였다. 강한 태풍의 바람은 고속도로에서 이동하는 자동차보다 2배 더 빠른
셈
이다.또 태풍은 크기도 엄청나다. 2002년 태풍 루사는 반지름이 650km로 지름이 1000km가 넘는 대형 태풍이었다. 우리나라 서울에서 제주까지의 직선 거리가 약 450km이므로 태풍 루사는 우리나라를 다 덮고도 남는 크기다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을 연구 한다”고 설명했다. 경험디자인이 로봇개발에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셈
이다.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제품 개발자들이 함께 세운 ‘사용자경험’이라는 무대 위에서 한동안 계속 뜨거워질 전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판타스틱 경험디자인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하늘에서 지켜주고 있다가 위험한 일이 생기면 갑자기 나타나는 슈퍼맨 같은 친구인
셈
이다.꼬리날개 없앤 덕트형 구조통돌이는 크기는 작지만 큰 힘을 낸다. 이런 덕트형 비행자율로봇은 현재 미국 ‘허니웰’이 개발해 군사용으로 실용화한 대단위 전투지원 비행로봇뿐이다. 미국이 특허를 갖고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땐 큰 소리를 내는 음파표지시설이기도 하다. 바다 위의 종합안내시설이 유인등대인
셈
이다.녹색 만나면 오른쪽, 적색 만나면 왼쪽육지에서 튀어나온 바위, 암초,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바위섬 등에는 거의 대부분 항로표지가 설치돼 있다. 해난 사고를 막기 위해서다. 그렇다고 등대나 등탑, 부표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한 단계씩 오르는 데 평균 450일이 걸린 것을 감안하면 7년여 만에 두 아내를 모두 잃은
셈
이다.미라는 모두 석관인 회격묘(灰隔墓) 안에서 발견됐다. 회격은 석회와 황토, 고운 모래를 섞어 만든 조선 전기의 묘 방식으로 후기의 회곽묘보다 밀봉이 잘 돼 미라가 더 잘 만들어진다.발굴단은 오산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풍부한 명주실을 얻기도 한다. 세상을 이루는 세균과 적당히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셈
이다. 또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어린이보다 세균이 있는 환경에서 자란 어린이가더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세균을 무찌르고 감염질환을 이겨내기 위해 면역계가 스스로 강해지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떤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