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발전을 가져 왔다.지구과학은 물리학
생물학
화학의 발전에 따라 20세기 초반까지는 고
생물학
과 암석의 연대연구로 개별적인 발전과정을 겪었다. 1960년대 이후 고지자기 해석을 중심으로 전 지구적인 규모의 연구가 진행되고 대양저(大洋底)확대설과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급속한 발전을 보게된다.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유전자의 인위적인 변형을 통해 특정기능이 향상된 단백질 또는 전혀 새로운
생물학
적 기능을 갖는 단백질을 만들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알아내는 것은 생명현상의 기본원리를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현대 생화학의 가장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킨다.17세기에 현미경이라는 기기의 발명이 세포의 발견을 불러와
생물학
에 일대 혁명을 몰고 왔듯이 과학은 기술에 원용돼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내고 이 발명품은 다시 한차원높은 과학연구를 위해 사용된다. 양자역학에 근거해 만들어진 레이저가 오늘날 물리학의 숙제인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장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물을 이용해 환경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생물학
적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다. 이것은 결국 생물을 이용해 인간의 위험을 미리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부르며 지금까지는 나팔꽃잠자리 수서곤충 ... ...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벽 한쪽에 서서 고릴라와는 분리되어 있다고 볼 수있는 첫번째 신호가 되었다.물론 많은
생물학
자들은 이 교차반응 결과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하면서 과거의 믿음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서서히 실제 유전자를 분석하는 법을 깨닫기 시작했다.유전자는 세포의 화학작용을 조절하는데, 각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주로 화학공학 및 생물공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토목공학 약학 의학
생물학
화학 해양학 등 많은 분야가 환경보전에 직접 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다. 또한 환경보전 기술의 개발은 한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여러명이 한 팀이 되어 협동하여야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상당히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다.한편 설계도에 따라 생물을 실험실에서 만들어내는
생물학
적 공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생태계에 대한 불균형 문제도 열띤 논란이 진행되고 있다. 유전자 조작에 관련된 문제는 과학적 진보가 이루어질 때마다 놀라움과 함께 사회적으로 찬반양론을 제기되고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새로운 학문을 창조하는 것은 우리 교수들이 아니랍니다. 대학원 학생들이지요. 신경
생물학
전산학 인공지능 등이 그러했고 미디어 과학도 네그로폰테의 학창시절 작품이지요."라는 대목에서는 선뜻 비교하기가 어려워진다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랩톱컴퓨터나 노트북에서 일반적으로 쓰인다.원래 액정은 1888년
생물학
연구과정에서 발견됐으나, 실용화된 것은 70년대초 일본업체들이 전자손목시계와 전자계산기에 액정을 채용하면서 부터다. 현재 액정을 이용한 벽걸이 TV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다.랩톱컵퓨터에는 LCD외에도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영리하다해도 언어학자들을 이기기는 어려울 것 같다. "만약 인간 이외의 어떤 동물이
생물학
적으로 언어를 익힐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것은 마치 인간이 스스로 날 수 있는 섬을 발견한 것과 같은 기적이다"라고 MIT의 언어학자 촘스키는 말한다.그러나 칸지의 보호자들은 이 영리한 원숭이가 더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