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행성의 대기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별빛만으로 외계행성에 대해 이처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니 신기하지 않나요? 외계행성 발견하면 내 이름이 논문에외계행성 탐험대와 행성 사냥꾼:테스 프로젝트에는 지금까지 4만 5000명이 넘는 시민천문학자가 참여했어요. 연구팀은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시원한 네덜란드 풍차가 제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 편집자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보이지만 마크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풍차는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문제가 재밌어서 기다려지기도 하고요. Q 폴리매스가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되나요?다양한 문제를 풀어본 게 수학 실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됐어요. 재밌는 문제를 친구들과 같이 풀어보기도 하고, 해결된 문제의 풀이를 보며 문제를 푸는 노하우도 얻었어요. 이런 폴리매스에서의 활동을 영재교육원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여전히 암과 다수의 난치성 질병들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는 가운데, 인간을 갉아먹는 악으로만 여겨졌던 바이러스가 이제는 거꾸로 선행을 베푸는 존재로 떠오르고 있다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닥에서 마그마의 열로 뜨거워진 물이 온천처럼 솟아오르는 곳으로, 온도가 높고 다양한 유기물이 존재해 최초의 세포가 이곳에서 탄생했을 것이라는 추측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딕 교수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심해 열수구에서 나오는 황을 에너지원으로 삼는 고세균에 기생하는 것으로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연구 결과는 우리 셋만의 노력이 아니라는 점을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했다. 에를리히는 자연에 무수한 항원이 존재한다면 당연히 항체의 범위도 엄청나게 다양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세포가 병원체로부터 위협을 받으면 곁사슬을 만들고, 곁사슬이 분리돼 수많은 항체가 생긴다는 ‘측쇄설’을 발표했다. 이후 측쇄설은 폐기됐지만, 에를리히의 발표 덕분에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전자들은 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T림프구의 항원 수용체 역시 유전자 재배열로 다양성을 획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도네가와는 수상자로 지목된 직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연구한 주제들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며 “노벨위원회의 선택을 받을 거라곤 예상하지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B형 간염 백신이 대표적이다. 그밖에도 단백질 백신의 종류는 다양하다.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없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접종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VLP·virus like particle) 백신도 큰 틀에서는 단백질 백신에 속한다. VLP 백신은 면역반응 유도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세포 매개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 개발 역사에 길이 남게 됐다. 연구팀은 스미스에게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이용해 다양한 실험을 하며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을 크게 앞당겼다. 스미스에게서 분리한 바이러스는 그의 이름을 따 ‘A/WS/1933’으로 불리며, 오늘날에도 실험에 사용된다. 또 이때부터 페럿은 인플루엔자를 비롯한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