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면장력 차이로 전진하는 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구슬을 끼운 배는 왜 움직일까?알긴산칼슘 구슬을 충분한 시간 동안 담가두면 구슬
내부
에 조금씩 알코올이 스며든다. 이렇게 알코올을 머금은 알긴산칼슘 알갱이를 배에 끼우면 배는 앞으로 조금씩 움직인다. 이는 구슬 안에 있던 알코올이 구슬 밖으로 조금씩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즉 알코올은 ... ...
공생관계도 셈은 철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협조적인 박테리아를 선별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질소화합물을 공급받지 못한 뿌리혹
내부
의 산소 농도와 산소 투과도가 정상 뿌리혹보다 더 낮았다. 식물과 미생물의 세계에서도 ‘give and take’의 법칙이 지켜지고 있는 셈이다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망원경의 구경이 매우 커진다면, 안드로메다
내부
에 있는 수많은 구상성단과 산개성단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또다른 재미를 제공해준다.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오리온자리 유성우가 떨어진다 10월의 새벽이 되면 추위와 함께 한겨울의 별자리들이 그 ... ...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전까지는 바싹 얼어붙어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고 숨쉬는 반응만 할 뿐이다. 신체
내부
적으로는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돼 심박율과 혈압, 호흡이 가빠지고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이 분비된다.공포의 이런 특징 때문에 동물을 대상으로 공포의 뇌 생리적 기반에 대한 연구들이 일찍부터 많이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초고층 아파트라 해도 건물의 외형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을 나누는 반면 우리나라는 세대 공간을 기준으로 건물의 전체적인 형태로 발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이런 경향은 건축 측면에서 훨씬 복잡하고 어렵지만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송전망에 떨어지면 큰 서지는 선로를 통해 발전기 쪽으로 침입한다. 이때 피뢰기
내부
에 있는 산화아연(ZnO) 소자가 번개를 열 형태로 변환해 흡수하고 일부는 대지로 방출시켜 보호한다.전력 수송을 위해서 전압을 높일 때는 변압기가 사용된다. 변압기는 양쪽에 코일이 감겨있는 철심으로 구성된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낮다.홍채는 원래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한다. 또 홍채는 그
내부
의 신경과 혈관 조직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최근 일부 한의학 분야에서는 홍채의 이같은 특성을 이용해 신체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특히 혈관과 관계 있는 질병은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1930년에 미국으로 가서 캘리포니아 공대 교수, 동 대학 지진관측소장 역임 지구
내부
의 지진파 속도분포, 특히 유체핵 및 맨틀저속 층의 존재를 밝히는 데 공헌했다 〔중요 저서〕 《On seismic waves》(1934~36) 《Seismicity of the earth》(1959) 1884~1949 독일의 화학자 브레슬라우 근교의 골트슈미덴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분리 시도일단 결합쌍생아가 태어나면 당연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
내부
에 다른 기형을 갖고 있는지 또는 수술로 분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필히 진단해야 한다. 이때는 초음파 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촬영(MRI)과 같은 여러가지 진단 방법을 이용한다.신체의 어느 ... ...
압력솥 온도 견디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러브레이 교수팀은 태평양 심해 열수분출구 주변에서 채집한 미생물이 압력솥
내부
의 온도인 1백21℃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에게 ‘변종 121’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백-3백℃의 뜨거운 물을 내뿜는 열수분출구는 심해의 산맥인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