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자들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수사의 그물망이 좁혀지면서
남아
시아에 분포해 있는 샤향고양이(civet) 등 몇몇 야생 동물이 사스바이러스를 퍼뜨린 주범으로 전면에 등장했다. 사향고양이는 동물성 향료인 시벳을 분비하는 종으로 예전부터 향료업계에서는 유명하다. 사람들은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추운 겨울밤, 옷깃을 여미며 바쁜 걸음을 옮기다 문득 쳐다본 하늘 한쪽에는 별들이 옹기종기 모여 빛나고 있다. 밤하늘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보아야 할 최고의 성단, 플레 ... 달의 정밀한 위치 측정 등을 위해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한 관측 기록으로서의 가치가 여전히
남아
있다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뿐 아니라 제대로 익지도 않는다. 배아와 배유를 보호하는 과피, 종피, 호분층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서울대 식물육종연구실 고희종 교수팀은 돌연변이 육종교배를 통해 거대배아미 품종 ‘서농6호’를 개발했다. 벼의 7번 염색체에 있는 ge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생긴 거대배아미는 일반 쌀에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렇다면 벼의 재배는 언제 어디서 시작됐을까?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야생벼가 발견되는
남아
시아가 기원일 것이다. 실제로 인도의 콜디와와 인도네시아의 셀레베스 등지에서 사람이 수확한 것으로 보이는 탄화된 쌀이 발견됐고 6천년-8천5백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뒤 정밀한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다. 반면 일본의 여러 문헌에는 고추가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기록들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조선에서 고추 종자를 가져왔기 때문에 이를 고려호초라 한다고 대화본추에 기록돼 있다.종자를 퍼뜨리려 매운맛 지녀고추의 독특한 매운맛은 캅사이신(capsaicin)이라는 알칼로이드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 만큼 넓은 통로가 필요하다. 또 적정 수준의 서비스 이용료를 책정하는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집안일도 척척회사원 동글씨. 오늘따라 퇴근길이 바쁘다. 직장에 다니는 아내와 번갈아 맡은 가사일을 하기로 한 날. 게다가 오늘은 아내의 생일이다. ‘오늘만큼은 절대로 아내에게 일을 맡겨선 ... ...
철가루 훈련대장 자석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잔류자기라고 한다.드라이버의 끝에 자석을 붙였다가 떼면 그 끝에 자석의 성질이
남아
나사나 못이 붙을 수 있다. 전기제품을 조립하는 공장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해 드라이버의 끝을 자화시켜 작업을 좀더 쉽게 하기도 한다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꼬리가 들리거나 말리게 됐고 귀가 커졌다. 전반적으로 유아기 때의 모습이 성장해서도
남아
있는 현상을 보인다. 성품에서도 마찬가지 양상이 나타나 강아지 때 까불고 노는 습성이 어른이 된 뒤에도 남는다. 즉 덩치 큰 개의 성품이 어린 늑대 강아지와 비슷하다.이런 변화들과 병행해 개는 사람을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포함한 근육은 쉽게 부스러졌다.키 1백54cm의 20대 초중반 여성부검을 통해 태아가
남아
라는 사실을 알았으나, 유전자검사를 통해 4백30년이나 경과한 미라의 조직에서 유전자검사가 가능한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미라의 신원을 밝히는데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산모 미라에서는 간과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특별한 기원’이란 책에서는 중세 교회가 겨우살이 장식 풍습을 고대의 우상숭배전통이
남아
있는 것이라고 금지하자 대신 호랑가시나무를 매달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날카로운 가시는 예수가 쓴 가시관을, 붉은 열매는 흘린 피를 상징한다고 합니다.호랑가시나무 역시 우리나라 남쪽 지방에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