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300억 달러(한화로 약 35조 6000억 원) 이상이다. 스페이스X는 9월에 "첫 번째 베타 테스트 결과 초당 100Mb(메가비트·1Mb는 100만 bit)의 속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최근 미국 도서 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에 참여하라는 초청장을 통해 “향후 전송속도 초당 50Mb에서 150Mb, 레이턴시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크기를 키우면 면적이 수십~수백cm2인 대면적 그래핀도 합성할 수 있을 전망이다. 좋은 결과를 얻어서 다행이지만, 아이디어를 내고 성공하기까지 2년이 넘는 고된 실험이 있었다. 실험을 얼마나 많이 했던지 석영관의 내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부식된 적도 있다. 고온 열처리로 석영관의 실리콘을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처럼 다량의 추진제를 고온, 고압 상태에서 짧은 시간 태우면 교란이 발생한다. 그 결과 연소실 내부의 압력과 진동이 급격히 높아지고, 심각한 경우 폭발로 이어진다. 연소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설계를 바꿔 연소기를 제작하고 시험하고, 다시 설계를 바꾸는 시행착오를 2014~201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자기장을 타고 돌다 보면 힘을 많이 받는 부분과 적게 받는 부분이 생긴다. 그 결과 플라스마가 불균형해지고 결국은 소멸하게 된다. 이를 막으려면 도넛 형태를 타고 도는 플라스마가 이동방향의 수직으로도 움직여 잘 섞어야 한다. 그러자면 나선 형태의 자기장이 필요한데, 플라스마의 회전으로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지금까지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이룩한 연구결과는 핵융합과 플라스마에 대한 기초기술을 확보한 수준입니다.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죠. 특히 중수소와 함께 핵융합 반응의 연료 중 하나인 삼중수소를 자급자족할 수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부분만 특정해 학습하도록 만든다. 김 씨가 가져온 알고리즘은 팀 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냈다. 처음엔 분자 구조를 임의의 문자들로 표현한다는 것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 선임연구원은 그동안 개발했던 알고리즘을 모두 내려놓고 트랜스포머 기반 알고리즘을 같이 개발하기로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친밀감을 높일 수도 있겠지만, 상대방을 공격하는 감정이라면 폭력이 되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2010년 마틴 타이커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어린 시절 언어폭력을 겪은 성인의 뇌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분석했다. 타이커 교수는 부모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없이 자랐으나,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이 좋습니다. 플래시를 계속 켠 채 주변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사진은 결과물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지만 동영상은 촬영 중 반짝이는 빛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의 소자까지 탐지한다 간이점검카드로 모든 종류의 불법 촬영 카메라를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종합 보안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거론되기도 한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를 직접 만났다. 그의 최신 연구결과인 과산화수소 생성 촉매를 심도 있게 살펴봤다. 지난해 12월 한국을 방문한 2019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는 1월호 인터뷰로 소개했다. 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 ...
- 2020년 과학동아가 만난 독자들 1200+α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독자들과 지면뿐만 아니라, 온라인과 연구 현장에서 만나는 자리를 한층 늘리고자 했다. 그 결과 독자와 함께 전문가를 만나 미세먼지에 대한 궁금증도 풀어보고, 현재 과학교육의 문제점도 들어 볼 수 있었다. 올해 3월 야심차게 시작한 ‘사이언스 보드’에서는 지금도 각 분야 최고 과학자들과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