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스페셜
"
방식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
IBS
l
2016.03.03
중인 송 연구원은 영화 속 마크 와트니처럼 가장 당면한 문제부터 해결해 나가는 연구
방식
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IBS 제공 마션과 같은 과학영화는 일반 대중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꿈을 심어 줄 수 있다. 반면 과학적 오류가 있는 경우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송 연구원은 과학영화라면 ... ...
그린십 기술로 환경과 경제 모두 살린다
2016.02.29
2011년 자외선 살균
방식
의 평형수 처리장치인 에코밸러스트(Eco-Ballast)와 전기분해
방식
인 하이밸러스트(Hi-Ballast)를 개발했으며, 실제 운항 중인 선박에 적용해 테스트를 마친 상태이다. 향후 IMO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이 발효될 경우, 협약 비준국 내 바다에는 미처리 평형수는 버릴 수 없게 된다.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
2016.02.26
사무실을 임대해주고 원한다면 기술개발단계에서 서울대와 공동 연구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
이다. 예를 들어 평창캠퍼스 내에는 카길애그리퓨리나(Cargill Agri Purina Inc.)라는 다국적 기업의 연구소(아시아총괄연구소)가 입주해 있다. 또 평창캠퍼스의 계획에는 바이오가스플랜트라는 녹색기술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알파고도 이 9단의 기보를 확보해 집중 분석하는
방식
으로 프로그램 성능을 높인다면 어느 정도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알파고와 중국 판후이 2단(오른쪽)의 대결 모습. - 딥마인드 제공 알파고의 사양을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방법이다. 알파고는 중국의 판후이 ... ...
스트레스를 받는 나에게만 가혹한 ○○○ 세상, 정말일까
2016.02.23
사람들에 비해 갈등을 겪을 때 이야기를 통해 차근차근 해결하는 등의 적응적인 대처
방식
을 보이기보다 화를 내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는 편이다. 또 상대방을 비난하는 말을 잘 하는 편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갈등 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사과를 받았다고 해도 상대방을 쉽게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
IBS
l
2016.02.03
주어진 세계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그 안에서 각자의
방식
으로 살아남는 삶의
방식
들이 마치 큐브 안에서의 삶과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다. “나약한 존재이기에 함께 하려는 영화 속 인물들의 모습에서 희망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순하게 보면 감독이 인간 세계를 ... ...
로또 1등 명당에서 사면 정말 로또에 당첨될까
2016.02.02
노릇이다. 이럴 때 우리는 어떤 모습을 보이게 될까? 구체적인 상황과 사람에 따라 대응
방식
이 천차만별이겠지만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는 믿을 수 없는 자기 대신 더 강한 무엇에 기대는 것이다. 그 한가지 예가 ‘미신’이다. 2008년 사이언스지(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평소에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수 있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알려주는’ 셈이다. 바이오마커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작동
방식
은 아직도 베일에 싸여있는 것이 많다. IBS에서는 다양한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바이오 마커를 발견하고 작동원리를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똑똑한 센서, 바이오 마커의 신비가 많이 밝혀지기를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즉 세포분열 과정에서 임의적인 실수로 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전체의 10~30% 미만(통계
방식
에 따라 편차가 있다)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논문을 읽어보면 사실상 10% 미만이라는 내용이다. 이게 맞다면 암은 생활습관의 질병이라는 기존 과학상식은 부활해야 한다! 미국 스토니브룩대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교수는 미국 듀크대 한무영 교수와 함께 쿼크의 색전하 개념을 고안해 강력이 작용하는
방식
을 제안했다. 또 끈이론의 토대가 되는 이중공명모형을 제안하기도 했다. 고등과학연구소의 천재 물리학자 에드워드 위튼은 남부 교수를 이렇게 평가했다. “사람들은 그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가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