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車 전원 ‘슈퍼 커패시터’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크기나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3만 번 이상 충·방전할 수 있다.
상용
화 과정에선 기존 구형 콘덴서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부피를 1000배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IoT), 자가발전 스마트 센서 등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기본 재료인 ‘그래핀 버블’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
화가 조기에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성과는 재료 분야의 국지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월 8일자에 소개됐다. 그래핀 버블로 구현된 2차원 정렬 구조체 및 3차원 집적구조체 ... ...
휘는 디스플레이 최대 약점 ‘열팽창’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디스플레이’가 속속 개발되고 있지만 열에 취약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상용
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접히는 스마트폰)’을 7일(현지 시간) 미국에서 열린 삼성개발자콘퍼런스에서 공개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휘는(플렉서블) 스마트폰’의 ... ...
고등과학원·카오스재단 ‘2018 노벨상 해설 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현재는 ‘이필리무밥’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등 다양한 면역관문억제제가
상용
화 돼 의료 현장에 쓰이고 있다.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이용해 매우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라식 수술 등을 가능케 한 아서 애슈킨 전 ... ...
시야 넓고 몰입감 높은 AR 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시스루 메타렌즈’의 원리.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의
상용
화에 걸림돌이던 시야각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알아냈다.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장 공동연구팀은 기존 증강현실 안경렌즈의 근본적인 ... ...
차세대 전자소자 ‘유기반도체’ 실용화 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 반도체보다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 성질 때문에
상용
화의 걸림돌이 돼왔다. 유기반도체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 물질로 내부 분자의 위치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어야 전하이동도가 높다고 알려져 왔다. 연구진은 고분자 물질 내부에서 전하이동과 관계된 ... ...
2020년대 환경파괴 없는 ‘수소열차’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만에 무인 운행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쳐 지난해 12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수소전기열차를
상용
화했다. 첫 고객이 된 독일은 2040년까지 전국의 4000여 대에 이르는 디젤기관차를 모두 없앤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영국도 2022년 초 코라디아 아일린트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 밖에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 ...
혁신제품 공공구매 확대…2021년까지 5천억원 시범구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년까지 히트 혁신제품 500개를 육성한다. 이밖에 정부는 시제품 형태의 기술개발제품이
상용
화를 거쳐 공공조달시장에 판매될 수 있도록 시범구매와 현장 테스트 등을 지원한다. 우수R&D 제품 수의계약 및 창업·벤처기업 제품 제한경쟁 허용, 경쟁적 대화 방식의 입찰 제도 도입 등 혁신제품 ... ...
난방용 태양열 저장 열배터리 효율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도시의 차세대 냉난방 시스템의 명확한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상용
화를 위한 실증 단계를 거친 다음, 건물의 에너지 자립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전환 및 관리’ 최신 호에 발표됐다.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전류를 얻었다. 이런 기능은 약 1주일 간 유지됐다. 연구팀은 생체 태양광발전 기술이
상용
화되는데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류원형 교수는 “조류세포와 같은 식물세포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변환 시스템이 실험실 단계를 벗어나 실용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첫 걸음”이라고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