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d라이브러리
"
활발
"(으)로 총 2,37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하여도 그것은 사고와 관계가 있으며 연합영역(association area)의 정보교환이
활발
하다고 하면 더욱 사고에 큰 영향이 있을 것이다.뇌량의 후부에 부분적으로 부푼 곳이있는데 이것을 팽대부(膨大部)라고 하며 이곳이 문제의 남녀차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곳이다.팽대부에는 후두엽(後頭葉) 측두엽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전망되고 있다.김치 산업화는 1967년 파원국군용 김치통조림을 제조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활발
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후 우리의 주거양식이 달라지고 해외 교민도 늘어나고 중동근로자가 급증하자 이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기업화되기 시작했다.국내의 김치업체는 허가업체가 1백여개, ... ...
공과대로 발전해온 신흥세력 아주대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것이라고 한다. 특히 대우그룹이 위탁하는 연구과제가 많아 재단측의 연구지원이 비교적
활발
함을 말해주고 있다.아주대가 자랑하는 면학분위기는 높은 취업률에서 입증된다. 금년도 2월 졸업생의 취업률은 86.9%인데, 학교측은 이수치가 전국대학중 최고라고 말하고 있다. 이 수치도 졸업예정자 7백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안디는 달의 형태 자체도 바뀌어질 지 모른다는 우려다. 게다가 달에서의 생산활동이
활발
해지면 배기가스가 엷은 대기층을 형성해 모처럼의 진공의 이점이 상실될 가능성도 있다.달의 면적은 3천8백만㎢. 지구의 남극대륙의 3배가 채안되는 크기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런 관점에서 일부 강대국에 ... ...
집적회로의 변천사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트랜지스터 시대(50년대)진공관을 대체하고 고체반도체산업의 막을 열었다. 증폭작용을 갖는 하나의 회로소자에 불과했다.IC(직접회로) 시대(1960년대)인공위성과 항공 ... 소자수는 10만개 이상, 회로 선폭은 3μ이하이다. 최근에는 회로 선폭1μ 이하의「서브 미크론」기술개발이
활발
하다 ... ...
컴퓨터교육 89년부터 교과과정에 컴퓨터 문맹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여러가지 유용한 CAI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 사용하기 어렵다.시범학교로서 비교적
활발
하게 컴퓨터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서울 광장중학교의 경우를 살펴보면 8비트 PC 35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학고 1학년 기술시간(주 3시간) 중 1시간을 컴퓨터교육으로 할애하고 있다. 전교생 대상으로는 컴퓨터에 ... ...
기계 발견의 역사 호기심과 실험으로 밝힌 공기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기체'라 이름붙이고 이를 열심히 연구하였다. 이 기체 속에서는 질소와는 달리 쥐가
활발
하게 활동하며, 이를 호흡하면 매우 상쾌해짐을 알아 냈다. 그래서 장차 부자들사이에는 이 공기를 호흡하는 악습이 생길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보기도 했다. 그리고 이 기체가 결핍된 공기중에 식물을 놓아 ... ...
복제방지프로그램, 에버록 공급
활발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국내판매를 맡고 있는IBM PC용 불법복제방지프로그램인'에버록'(Everlock)의 공급이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에버록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프로록이나 하드록처럼 전용디스켓이 필요없고 에버록 한장이면 무한정 보호할 수 있는 편리한 프로그램이다.(문의처 785-0597 ... ...
난청분야의 세계적 권위 전성균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중이염에 관해 60-70편, 그리고 난청과 평형기구 이상에 관한 논문을 50여편 발표하는 등
활발
한 연구활동을 벌여왔다. 중이염의 발생기전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와 내이(內耳)액의 평형유지에 관한 연구는 전박사가 개척한 분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요한 저서로는 미국과학아카데미에서 펴낸 ... ...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권 태 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생존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로 제기되는 느낌이다. 60년대말부터 인구학분야에서
활발
한 연구활동을 벌여온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의 권태환(權泰煥ㆍ46)교수를 만나 인구문제의 이모저모를 물어보았다. 인구증가, 부정적으로만 볼 것인가 -우선 '인구문제'란 무엇을 뜻하는지부터 설명해 주시죠.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