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설치한 4kW짜리 소형 ESS는 낮에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AI의 계산에 따라 필요할 때 다시 공급한다. 한국전력에서 공급받는 전력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수소차를 구입했다. 수소차가 처음 개발된 2015년에는 대당 가격이 약 1억5000만 원이었다. ...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고소 협박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해 카피추가 표절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따르면 표절은 두 저작물 간의 실질적으로 표현이 유사한 경우는 물론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한 경우까지를 의미한다. 그 안에는 타인의 저작물을 자신이 창작한 것처럼 속였다는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대답하는 지원자보다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고 ‘아나운서 톤’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작위적으로 보여 오히려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다.사실 AI 면접은 점수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사실상 인적성검사라 회사의 분위기에 따라 채용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양한 직군별로 AI 면접 ... ...
- 유적의 연대를 파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국면을 맞은 것”이라며, “새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고고학자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신중의견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을 무턱대고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탄소-14의 반감기 그래프 기울기가 급격하지 않은 시기에 보정곡선을 적용하면 보정연대가 여러 개가 나오기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분수와 같지만 또 다른 형태의 수인 소수가 탄생했다. 같은 수인데 왜 소수를 발명할 필요가 있었을까? 이는 쓰임새에 따라 더 편리한 수의 형태가 있기 때문이다.분수는 실생활에서 피자를 나눌 때나 요리 재료를 계량할 때 등 물건을 다룰 때 쓰면 편하고, 소수는 돈을 계산할 때 쓰면 편하다. 쉽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접착제 없이 물건을 착! 붙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증폭’이라고 표현했지요. 이 때문에 겹쳐진 낱장이 10배로 늘어나면 책을 분리할 때 필요한 힘은 수만 배로 커진답니다. 우리가 걸을 땐 마찰이 발생해요. 다리를 움직일 때는 가랑이 사이에서, 팔을 흔들 때엔 겨드랑이에서 끊임없이 마찰이 일어나죠. 만약 이 마찰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면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뚜껑 모양의 캘리브레이션이라는 장치를 회전시켜 감쇠 필터를 씌워주는 등의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또 해양탑재체는 주변 지역에 쓰나미 등 해양 재난이 발생했을 때 재난 발생 지역만 선택적으로 관측할 수도 있고, 하루에 한 차례는 탑재체가 볼 수 있는 지구면 전체인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공기 정화 식물로부터 효과를 얻기에는 그 수가 일단 매우 많아야 하고, 최소 수주 이상 필요하며, 그마저도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는 답변도 뇌리에 박혔다. 실험실 체험은 정말 흥미로웠다.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결합하는 촉매의 성능을 평가하는 분석 기계가 늘어선 모습은 ... ...
-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다른 개념”이라며 “리튬이온전지는 충전하고 방전하는 시스템이지만, 수소연료전지는 필요할 때마다 연료를 공급해줘야 해 소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수소 생산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거나 석유와 천연가스 등 각종 화석연료를 산화할 때 생성된다. 소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론 이 두 종류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입자의 표면을 안정화하는 부가적인 물질들이 필요하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입자 표면의 영향은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는 부피와 겉넓이의 비가 10:6이지만, 한 변의 길이가 1cm인 정육면체는 그 비율이 1:6으로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