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868년 어느 날, 장소는 영국이었다. ‘공룡’이라는 이름을 처음 만든 학자 리처드 오언과 ‘다윈의 불독’이라고 불렸던 토머스 헉슬리가 한 강연에서 맞붙었다. ‘공룡의 아버지’답지 않게 창조론자였던 오언은 독일에서 발견된 깃털달린 작은 새, 즉 시조새의 화석을 가리키며 “완전한 새의 ... ...
- 동북아시아를 강타한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6.9, 4.9, 6.7. 지난 4월 20~21일에 중국, 한국, 일본에서 차례로 일어난 지진의 리히터 규모랍니다. 가장 큰 지진은 중국 쓰촨성에서 일어났어요. 4월 20일 오전에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21일 오후까지 확인한 사망자만 200명 이상. 150만 명이 넘는 이재민도 함께 발생했지요. 또 지진이 일어 난 뒤 1000회가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서양의학에서 외과와 내과는 전혀 다른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전통적으로 내과가 대학에서 신학이나 철학과 더불어 가르쳤던 학술적 의학이었다면, 외과는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상처를 꿰매고 상한 이를 뽑는 등 실무 중심의 기술이었다. 외과의(chirurgien, chirurgen, surgeon)라는 말도 ‘손’을 뜻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수학자를 대상으로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를 몇 꼽으라면, 아마도 가장 많이 나올 이름 중에 장 피에르 세르가 있을 것이 분명하다. 1954년 27세의 나이로 필즈상을 수상해 지금도 최연소 필즈상 수상자 기록을 갖고 있고, 2003년 그의 나이 76세에는 백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아벨상을 받기도 했다. ... ...
- 스마트워치는 삼성이 애플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구글의 ‘구글 글래스(안경)’에 이어 새로운 ‘입는 컴퓨터’가 나왔다. 삼성전자는 손목시계 형태의 스마트기기인 ‘갤럭시 기어’(사진)를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가전전시회 이파(IFA)에서 처음 공개한다.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 이파 개막 이틀 전인 4일 갤럭시기어를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설국열차의 맨 앞 칸인 엔진실의 거대한 철문을 앞에 두고, 주인공 커티스(크리스 에반스 분)는 “가장 끔찍한 것은 자신이 사람 맛을 알아버렸다는 것”이라며 오열한다. 군인들에게 먹고 마실 것을 모조리 빼앗긴 꼬리칸 사람들은 결국 서로를 잡아먹는 지옥 같은 두 달을 보냈다. ‘열차’라는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의 세상엔 빨간색이 없다‘개는 흑백으로 본다’는 말은 개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다. 하얀 눈이 쏟아지면 폭죽이 터지는 것처럼 보여 팔짝팔짝 뛴다고 하지만 이는 단지 발바닥이 차가워서다. 실제로는 빨간색만 못 본다. 사람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는 종류에 따라 파란색(파장은 440nm)과 초 ... ...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가져올 수 있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전까지는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올리고 CPU에서 처리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양이 빠르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7월 말 EBS에서 국내 다큐 ‘기생寄生 PARASITE’가 반영됐다.다큐를 본 시청자들은 생생하면서도 신기한 화면에 감탄했다.특히 체체파리가 사람의 팔에서 피를 빠는 장면은 경악스러웠다. 도대체 저장면을 어떻게 찍은걸까.다큐 제작팀이 직접촬영 현장을 공개한다.‘기생寄生 PARASITE’는 기생생물, ...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기·정보공학부를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이 합쳐진 학부”라고 소개했다. 좀 더 한 마디로 학부를 표현할 수는 없냐고 재차 묻자, 차 교수는 약간 뜸을 들인 후 “전기신호로 도구를 만드는 학부”라고 대답했다. 전기·정보공학부가 다루는 반도체,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소프트웨어 등등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