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심해는 인간에게 도전의 대상이었다. 심해는 어떻게 생겼을까. 인간은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최근 심해가 새로운 연구분야이자 자원의 보고로 등장하면서 ... 망간단괴를 개발하고 대륙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에 맞는 것'을 개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입
을 모으고 있다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안고 가듯 잎꾼개미의 여왕들은 혼인 비행을 위해 어머니 집을 떠날 때 씨버섯 한 줌을
입
안의 조그만 주머니에 넣어 둔다.씨버섯은 혼인 지참금숫개미와 교미한 후 좋은 터를 골라 굴을 파고 새 살림을 차리자마자 여왕개미는 씨버섯을 뱉어 새 농장을 일구기 시작한다. 이렇게 마련한 조그만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필요로 하는 실질 수준의 고급인력을 양성, 공급할 수 있었다. KAIST 설립 초에 유행어처럼
입
에 붙어다니던 말이 ‘Practical’이다. 우리나라에는 KAIST가 생기기 전에도 높은 수준의 이론을 공부한 석사와 박사급 인력들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과 사회의 필요와는 이론과 현실의 연결 내지는 전이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우수한 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화된 과학교육을 실시한 것이다. 그러나 학문적인
입
장에서 분야별로 나눠 가르치는 방식이 과학교사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됐다.1980년대 학문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온 곳은 전국과학교사협의회(NSTA). 이들은 "과학·기술·사회가 서로에게 미치는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해 생각하고 그 이름을 말하는 과정에서 뇌 속의 한 장치가 난관에 봉착하면 단어가
입
에서 나올듯 하면서도 나오지 않는다. 이 장치들의 해부학적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실험으로 증명됐다.이미지 : 개념을 단어로 전환하는 경로의 첫 단계는 당신이 말하고자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비밀이다. 1943년 네덜란드의 허코스는 사다리에서 떨어져 두개골이 금이 가는 중상을
입
었다. 대신 그는 새로운 능력을 얻었다. 피살된 사람의 외투만으로 살인자의 인상착의를 상세하게 알아 맞춘 것이다. 경찰이 용의자를 체포했을 때 허코스는 범죄에 사용된 무기를 감춘 장소까지 알아냈다고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지금의 생물보호 노력이 지켜질 때만 가능한 일이다.장난꾸러기 췬스트렙펭귄 빰과
입
아래의 턱에 까만 선이 있는 것이 특징. 키는 젠투펭귄보다 작지만 공격적이다. 사랑을 나누는 두 췬스트렙펭귄의 모습이 정겨워 보인다.남극과 북극을 오가는 고래남극에서는 어디서나 고래뼈를 쉽게 볼 수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위성발사체(로켓)의 개발로부터 우주개발은 출발한다. 그러나 우린 위성발사체를 만들 수 없다. 그 이유가 뭔지, 또 우리나라 기술은 어느 수준인지 알아보자.한국 최초의 현대 ... 언급하지 않으려는 연구자들은 우주발사체 개발이 어려운 까닭은 기술적 측면이 아니라고
입
을 모았다 ... ...
생명의 비밀 밝히는 멋진 나눔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했다.초창기부터 같이 활동해온 회원들은 아직도 당시의 난상 토론이 생생하다고
입
을 모은다. 이같은 토론 문화 전통은 그리 많지 않은 회원을 가진 '생명과학 사랑'만의 자랑이기도 하다.한편 '학술게시판'을 들러보면 이 모임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다. 게시판에 올라와있는 글의 제목들을 ... ...
2 단편적일뿐 체계적이지 못하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전기자극을 가하면 악이복근이 수축,
입
을 벌리게 된다(개구반사). 마치 우리가 아플 때
입
을 벌리는 것과 마찬가지 현상이다. 이 개구반사의 크기는 침자극으로 억제된다고 알려졌다(그림5).또한 이빨 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하면 뇌에서 전위가 발생하는데, 이 때 안면의 사백(四白) 인중(人中) 영향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