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탄산과 중화 반응을 일으켜 혈액의 산성도, 즉 pH는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외부
에서 넣어준 산이나 염기 모두와 중화반응을 할 수 있어서 산성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완충 작용이라고 한다. 핏 속에 많이 녹아있는 인산수소이온(HP${O}_{4}$²-)과 인산이수소이온(H₂P${O}_{4}$-)도 ... ...
① 생명의 으뜸원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우주를 구분하는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막이라는 특수한 구조를 가진다. 세포의 내부나
외부
나 모두 대부분이 물이기 때문에 세포막은 안과 밖이 모두 친수성을 가진다. 그러나 막 전체가 친수성 물질로 돼있다면 물에 녹아서 막의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중막 각각의 안쪽은 물과 섞이지 ... ...
19세기의 유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없는 가장 작은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X선 베크렐선 전자 등이 발견된 것이다.
외부
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데 어떻게 강한 에너지를 가진 방사선이 나올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원자 내부에 뭔가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게 됐다. X선은 원자의 본질에 대한 의문에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여행하면서 무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적과 싸우기도 한다. 건물 내부에 들어갔을 때와
외부
에 있을 때 그래픽이 조금씩 달라지는 등 세심한 부분의 배려가 돋보인다. 게임을 하면서 대화가 가능해 게이머들간에 교류도 활발하다. 실제로 개발사에는 레벨이 낮은 학생들이 더 좋은 무기 아이템을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피부병 ‘주사’의 초기증상이다.피부는 항상 환경에 노출돼 있기 때문에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끊임없이 자극을 받는다. 한편 내부 장기에서 질환이 생겨도 피부에 그 증세가 어느 정도 나타난다. 그래서 ‘피부는 내장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다. 따라서 안색을 포함한 피부색의 변화를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바와 같이 자신의 체온을 조절할 수 없어서 체온이 내려가면 불활동 상 태에 들어갔다가
외부
세계의 온도가 올라가야 다시 활동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한편 겨울잠을 자지는 않지만 에너지를 보존하는 잠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는 동물이 바다코끼리이다. 이들이 잠자는 동안의 신진대사율은 너무나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벗어나 우주로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된다.새롭게 개발된 스핀디지라는 반중력기관은
외부
와 완전 격리된 독립적인 에너지장을 만들 뿐 아 니라 상대성이론의 적용에서도 벗어나 초광속운동을 실현시킨다. 게다가 기관의 효과는 질량이 클수록 더 증폭되기 때문에, 결국 지구상의 모든 도시들이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고문이 가장 고통스럽다고 한다. 생체 시계는 분명 잠이 들어 야 한다고 알리고 있지만
외부
의 '압력' 때문에 잠을 잘 수 없는 상황이다. 생체 리듬이 깨진 탓에 하루종일 비몽사몽으로 헤매고, 몸에서도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증상이 나타난다.그런데 자신이 택한 직업 때문에 '잠고문'에 시달리는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우주에서도 결과는 같을까. 만약 생물의 몸 내부에 중력 변화를 읽는 능력이 있다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실험한 결과 어떤 식물은 1mg중의 작은 중력을 원심력으로 만들어줬을 때 뿌리가 중력방향이 아닌 원심력 방향으로 뻗고, 줄기는 그 반대방향으로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거리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때문에 ‘세페이드 변광성’은 우리 은하의 크기나
외부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우주의 측정자 역할을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북극성도 3.97일 주기의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그 맥동주기를 통해 북극성의 실제 밝기는 태양의 6백배이며, 그 거리는 약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