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W5 코드 브레이커] 새로운 암호를 등장시킨 컴퓨터의 발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사람이 암호를 만드는 방법을 공유했다. A대신 알파벳 두 개를 건너 뛴 D를 쓴다는 약속 아래 모든 철자를 바꿔 쓰기로 했다면, 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모든 철자에서 알파벳 두 개를 거슬러올라가 원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2라는 암호키를 공유하고,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크림보다 높기 때문에, 크림 층의 두께는 잼 층보다 두껍다. 따라서 잼을 크림보다 아래쪽에 놓지 않으면 잼이 흘러내려 손에 묻을 수 있으므로, 스콘 바로 위에는 잼을 발라야 한다. 유지나 챙 박사는 스콘 위에 잼과 크림을 얼마나 발라야 할지 그 두께를 계산하는 공식도 알려 주었다. 만약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오일러는 골드바흐의 편지 내용에 흥미를 느껴 꼼꼼히 살펴본 끝에, 그의 추측을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5보다 큰 모든 홀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2보다 큰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그 이유는 오일러와 골드바흐의 소수에 대한 견해가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 ...
- 밍크고래는 남극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남쪽의 남극해 바닥에 있는 10.7m짜리 고래 뼈를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해수면에서 1.6㎞ 아래의 모래 위에 놓여 있던 이 뼈의 주인이 64년 전쯤에 죽은 남극밍크고래라고 추정했지요. 6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뼈가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와, 이 발견이 생태계 연구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지 않으세요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다른 변수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면 알 수 있지요.날씨에 관해서 회귀분석을 하면 아래와 같은 함수식을 만들 수 있어요. 변수에 값을 대입하면 미래의 날씨를 예측할 수 있죠.그런데 이 함수는 얼마나 정확하게 날씨를 예측할까요? 사실 아무도 모릅니다. 내일의 날씨를 예측했다면 내일이 돼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있지만 후두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풍화에 의해 붕괴될 운명이다.브라이스 캐니언에는 아래를 돌아볼 수 있는 다양한 등산코스가 있다. 후두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고도가 낮아지면서 서서히 기온이 올라간다. 주변의 식생 또한 관목에서 제법 큰 나무들로 바뀐다. 후두는 때로는 탑처럼,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알려져 있다. 공에도 스위트 스폿이 있다. 바로 공의 가장 볼록한 지점에서 약 1.9cm 아래 떨어진 지점이다.공을 맞힐 때 각도도 중요하다. 을 쓴 로버트 어데어 예일대 물리학과 교수는 공이 배트에 맞아 35°로 날아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고 계산했다. 만약 강한 뒷바람이 분다면 ... ...
- 4차원 - 4000만 년 전 바다의 최대 포식자, 원시고래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고래의 조상인 원시고래의 모습을 상상해 그렸다. 맨 아래 거대한 원시고래는 4000만 년 전 살던 바실로사우루스. 바실로사우루스가 물고 있는 동물은 같은 시대에 살던 다른 원시고래 도루돈의 새끼다. 물가에 선 네발 동물은 5500만 년 전 살던 고래의 시조 파키케투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안타깝게도 카메라는 눈이 하나기 때문에 하나의 무지개 밖에 찍을 수 없었다.달무지개 아래서 사랑을 속삭여볼까무지개는 매우 다채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하나는 하늘이 미소를 짓는 듯 거꾸로 걸린 ‘천정호(circumzenithal arc)’다. 물방울이 아닌 구름 속 얼음알갱이에서 빛이 굴절돼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향해 무작위로 움직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최단 시간이 걸리는 경로로 움직이게 된다.아래는 논문에 실린 실험 사진.개미도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빠른 속도로 걸을 수 없는 울퉁불퉁한 지표면에서는 움직임을 줄이고 매끄러운 지표면에서 더 많이 움직인다.#3 편한 길은 많이, 힘든 길은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