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영상이 펼쳐진다고 설명했다. LED소자 하나에는 RGB광원이 하나씩 들어 있어 각각의 빛
세기
를 조절하면 원하는 색의 빛을 만들어낼 수 있다.지난해 11월 17일 있었던 점등식에는 영국 출신 팝아티스트인 줄리안 오피의 작품 ‘걷는 사람들(Walking People)’이 모습을 드러내 바라보는 사람들의 경탄을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기다란 꼬리를 흔들어대며 헤엄쳐 다니는 나를, 알고 있지?사람들이 날 처음 발견한 건 17
세기
였어. 미생물의 시대를 연 네덜란드의 위대한 과학자 안토니 레벤후크가 1679년에 자신의 정액 속에서 꿈틀거리는 수백만 마리의 나를 현미경으로 처음으로 본 거였지. 레벤후크는 나를 사람들에게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기
만 구분했다. 그래서 단순히 형광물질이 밀도가 높게 염색됐을 뿐인데도 형광
세기
가 높으면 이온 농도가 높거나 산성도가 높다고 분석되는 경우가 있었다.연구단은 형광수명에 주목했다. 형광수명이란 들뜬 상태의 전자가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말한다. 형광수명은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차운동의 수치를 적용시키면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인, 신라시대 첨성대가 세워진 7
세기
중반의 춘분날 저녁에 남중했을 별을 계산으로 알아낼 수 있다.따라서 천 년 전 춘분 때 머리 위에 보이던 별은 오늘날 바라보는 별과 다를 것이다. 이번 관측을 통해서는 춘분날 어떤 별이 남중했는지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오일러는 7개의 다리를 건너는 흥미로운 문제로 위상수학 분야의 연구를 시작했어. 18
세기
초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가 있었는데 그 중심에 프레겔 강이 흘렀지. 오일러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모두 한 번씩만 건너 처음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지. 결론은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는 것, *명제를 증명하고 추측하고 발견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17
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그 결과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수학문제로 바꿨습니다. 문제의 규칙을 찾아 방정식으로 만들어 풀었던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힘들었을 것이다. 먹는 음식이니만큼 맛이 중요하기 때문이다.구멍 뚫린 도넛은 19
세기
중반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다. 뱃사람이었던 핸슨 그레고리는 기름에 튀겨 만드는 도넛이 항상 가운데가 잘 익지 않는다는 점에 불만이 많았다. 그래서 매번 후추통으로 도넛의 가운데에 구멍을 내어 먹곤 했다. ... ...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된다. 이것을 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금비는 건축에서도 발견된다. 15~16
세기
에 살았던 이탈리아의 수도사 파치올리는 자신이 서술한 저서에서 황금비를 ‘신성한 비례’라고 불렀다. 이 비율이 신의 속성에 가장 어울린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황금비를 건축에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내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돈을 주는 풍습은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없었지요. 하지만 20
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돈으로 성의를 표시하는 풍습이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세배의 대가로 세뱃돈을 주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뱃돈 풍습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현대 화가 시작된 196 ... ...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발명품을 잠깐 감상해 볼까?뫼비우스 띠는 예술가에게도 독특한 영감을 주나 봐. 20
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에셔는 뫼비우스 띠를 모델로 그림을 자주 그렸어. 끊임없이 이어지는 뫼비우스 띠의 성질 때문에 회사 로고 등에도 끊임없는 성장을 상징하며 쓰이기도 한대. 뫼비우스 띠 II에셔의 그림이다.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